한국과 세계의 오순절신학을 위해 KIPT

분류 전체보기 230

오순절 영국 하나님의 성회 하워드 카터의 1935년 한국 방문기

한국 – 은둔의 나라 하워드 카터(Howard Carter)와 함께하는 외국 선교 여행 레스터 섬랄(Lester Sumrall) Lester Sumrall, “Korea – The Hermit Kingdom,” Redemption Tidings 12:3 (February 01, 1936), 9-10. 9 달리는 바퀴의 요란한 소리와 나르는 듯한 열차의 움직임에도 그 잠자는 땅으로의 급한 여행은 늦추어졌다. 나는 침대 위에서 뒤척이며 [중국]에서 있었던 일들을 기억했다. 우리는 한밤중에 우리를 보려고 모인 그리스도인들의 작별 인사를 받으며 중국 티엔친에 있는 열차역을 출발했다. 아침 8시 즈음에 중국 국경을 넘어 만주로 갔다. 내린 지 얼마 되지 않은 눈으로 덮인 풍경을 보았다. 모국을 떠나온 이래로 첫 ..

한국 오순절 순교자 박헌근(朴憲根)

이창승2023년 11월 20일/2025년 2월 23일      Ⅰ. 들어가는 말     박헌근(朴憲根)은 지금까지 “한국 오순절 최초의 순교자,” “기독교대한 하나님의성회 창설에 공헌자”로 평가되어 왔다. 그런데 이런 평가들에 “마음이 어진 자” 그리고 “탁월한 설교자”라는 평가가 더해졌다. 변종호와 기독교대한 하나님의성회 30년사, 그리고 50년사는 박헌근을 “한국 오순절교회 최초의 순교자”라고 소개했다. 1953년에 설립된 기독교대한 하나님의성회는 50주년을 앞둔 2002년 12월에 교단을 빛낸 50인을 발표했다. ‘교단발전 공로자,’ ‘교단창설공로자,’ ‘순교자’ 등 총 11개 부분으로 나누어진 50인에는 박헌근(朴憲根)이 순교자로 포함되어 있었다.     변종호는 박헌근이 인도했던 1950년 4월..

비둘기처럼 온순하나 사자처럼 강직했던 오순절교회 개척자 배부근(裵富根)

이창승2023년 8월 19일/2025년 4월 13일 I. 들어가는 말 배부근은 무엇보다 기도하는 사람으로 알려졌다. 기독교대한 하나님의 성회 30년사는 1981년에 배부근에 대한 항목에 “기도하지 않고는 설교를 안하던 배부근 목사”라는 제목을 붙였다. 30년사는 이런 제목을 단 근거로서 존 주르겐센의 배부근에 대한 언급을 제시했다. 나고야 성서신학원 원장 존 주르겐센이 배부근을 “기도하지 않고서는 설교하지 않는 위대한 사도”라고 극찬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그다음으로 배부근은 온화한 성품을 가졌던 사람으로 알려졌다. 선교사 체스넛(Arthur B. Chestnut)은 배부근에 대해 “그는 조용한 사람이었다. 그러나 언제나 다른 사람들을 기꺼이 도와주려 했다. 그는 마치 고요함이라는 ..

한국오순절교회의 영적 아버지 박성산의 일본유학 후 귀국 소식

丸⼭栄 "福⾳ 使者の 派遣" 『永遠の 御霊』 第37号 1932年 6⽉ 1⽇ 発⾏、7ページ. 주번역 정진현, 보조번역과 문자화 이창승 복음사자의 파견 박성산씨는 금번 만 2년간의 수양을 마치고 성전(聖戰)을 위하여 그립던 그의 고향 조선 경성으로 돌아갔다. 그는 나고야 일본성서교회에 입신(入信)하여 JW 주르겐센[John W. Juergenson] 선생 밑에서 충실하게 공부한 사람으로 강건한 정신을 가지고 열심히 성서를 연구하였다. 특히 우리가 믿는 성령의 교리에 대해서는 자고 먹는 것을 잊어버릴 정도로 공부했다. 사람으로서 감당할 수 없는 생활 속에서도 항상 주님을 바라보며, 우리 동포를 위하여 나고야의 한 모퉁이에 조선인 일본 성서교회를 설립하여 많은 사람들을 그리스도에게 인도하기에 이르렀다. 용사로써..

오순절 내한 선교사 메레디트와 베시에 대한 도날드 기의 보고서

Report to the Home Missionary Reference Council of the Assemblies of God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Concerning Our Missionaries in North China and Korea: Miss Meredith and Miss Vessey 도날드 기 (Donald Gee) January 25, 1938 이창승 역 역자 서문 도날드 헨리 페레 기(Donald Henry Frere Gee)는 1891년 5월 10일에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1924년에 도날드 기는 브리튼과 아일랜드 하나님의 성회 형성에 일조했으며, 1925년에서 1963년까지 총회 실행위원으로 일했다. 그는 1929년부터 1937년까지 세계를 돌면..

최초 내한 오순절 선교사 메리 럼시의 일본에서 선교보고(1929)

일본으로부터 인사 메리 C. 럼시 Mary C. Rumsey, “Greetings from Japan,” Trust (July-August, 1929): 23. 이창승 역 2023.7.19 일본에서 문안드립니다. 하나님의 풍성한 복이 여러분과 엘림 가족 전체에 깃들기를 기도합니다. 저는 엘림이 저에게 베푸신 호의를 다 말하기를 바라지만, 결코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제 마음은 그저 저를 엘림에 데리고 가신 하나님께 대한 감사로 넘치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제가 필요한 것을 아셨습니다. 저는 그분의 신실하심을 인해 그분을 찬양합니다. 주님의 뜻이라면, 이곳에 있는 것이 좋고, 여기에 머무는 것이 아주 행복하고 기쁠 것입니다. 그러나 사실 하나님께서는 저를 한국(Korea)으로 부르셨기 때문에, 저..

오순절역사 2023.07.19

최초 내한 오순절 선교사 메리 럼시의 일본에서 선교보고(1928)

일본에서 메리 C. 럼시 Mary C. Rumsey, “Japan,” Trust (Nov. - Dec. 1928): 22-23. 이창승 역 2023.7.19. 럼시 양(Miss Rumsey)이 다음과 같은 소식을 보내왔습니다. 엘림(Elim) 회원 여러분들에게 - 제가 전에 썼던 것처럼, 저는 헤릿트 디트리지 양(Miss Harriett Dithridge)에게 왔습니다. 저는 몇 년 전에 “트러스트”(Trust)에서 그녀의 간증을 처음으로 읽었었습니다. 그녀가 4년 전에 오순절 선교사가 되어 돌아온 후로 하나님께서 그녀를 놀랍게 축복하셔서 그녀에게 여기 일본에 아주 귀한 사역을 허락하셨습니다. 그녀는 여기에 한 성회(an Assembly)와 일본인 여성들을 위한 성경 훈련 학교(the Bible Trai..

오순절역사 2023.07.19

최초 내한 오순절 선교사 메리 럼시와 미국 하나님의성회 간의 서신들

럼시의 공식 선교사 승인 요청에 대한 미하나님의 성회 선교국장 퍼킨스의 답장 이창승 번역 5/12/2015 M 럼시는 미하나님의 성회에 선교사 가입을 원한다 1939년 3월 23일 메리 C. 럼시 양 한국 오순절교회 선교 한국, 서울, 조 3 태도 34 럼시 자매께: 저는 자매가 선교사 임명을 위한 자매의 지원에 관해 우리 선교국으로부터 어떤 진전된 답변을 듣기를 고대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선교지에 간 사역자들이 본국으로 돌아와 우리 선교위원회와 만날 수 있을 때까지 선교사 임명을 허락하지 않는 것이 우리 선교국의 관례였습니다. 그러므로 만약 어떤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자매가 자진해서 본국으로 돌아와 여기 본부를 방문할 수 있고, 그리고 한국에서의 상황을 보다 분명하게 설명할 수 있..

오순절 운동의 기원 (로스웰 플라우어, 1955)

The Genesis of the Pentecostal Movement J. 로스웰 플라우어 (J. Roswell Flower) 이창승 역 2023. 7. 16. [번역자 서언] 1955년 6월에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오순절 세계 연맹(Pentecostal World Fellowship)이 주최하는 제4회 세계 오순절 교회 컨퍼런스(World Conference of Pentecostal Churches)가 열렸다. 그 집회에서 로스웰 플라우어는 “오순절운동의 기원”이라는 글을 발표했다. 그는 오순절운동을 핵폭탄에 비유했다. 그는 하나님께서 20세기가 시작되는 때에 그 핵폭탄을 터트리셨고, 그 버섯구름이 전 세계를 뒤덮었다고 주장했다. 그의 글은 7개월 뒤인 1956년 1월 29일에 Pentecostal..

오순절역사 2023.07.16

오순절운동의 탄생(로스웰 플라우어, 1950)

Birth of the Pentecostal Movement J. 로스웰 플라우어 (J. Roswell Flower) 이창승 역 2023.7.11 The Pentecostal Evangel (November 26, 1950): 3, 12-15. [번역자 서언] 로스웰 플라우어(1888-1970)는 19세가 되던 해에 글렌 쿡(Glenn A. Cook)이 1906년 12월에 인디아나폴리스(Indianapolis)에서 열었던 오순절 집회에 가족들과 함께 참석하여 성령침례에는 방언이라는 성경적 증거가 동반된다는 교리(the dogma)를 받아들였다. 글렌 쿡은 시무어의 아주사 집회에서 방언을 동반하는 성령침례를 받았었다. 그리고 플라우어는 21세에 그 교리를 경험했다. 플라우어는 25세가 되는 해인 1914년..

오순절역사 2023.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