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세계의 오순절신학을 위해 KIPT

오순절신학 10

오순절주의자 윌리엄 H. 더함의 성화론

이창승2019. 10/2024.6.01     I. 들어가는 말     더함(William H. Durham)은 초기 오순절운동의 성화론에 매우 중요한 변화를 이끌어낸 인물로 평가받아 왔다. 그런데 기존의 더함의 성화론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칭의와 동시에 순간적으로 발생한다는 완전 성화론에 치우쳐 있다. 그러나 사실, 더함에게 완전 성화는 그 이후 일생에 걸쳐 진행되는 지속 성화로 이어지는 것이다. 완전 성화론에 치우친 연구들은 더함의 성화론에서 초기 단계만을 다룬 것이다. 또한 완전 성화론에 치우치는 데다가 더하여 완전 성화론의 전체적이고 구체적인 구조나 내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없었다. 그러므로 더함의 성화론의 전체적인 구조와 구체적 내용을 밝혀보는 것이 오순절 신학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

오순절신학 2025.01.04

오순절운동의 아버지 찰스 F. 파함의 성화론

이창승2015.6/2024.6.01순복음총회신학교, 조직신학 jesusgate@daum.net     국문초록 오순절 운동의 아버지 찰스 F. 파함(Charles F. Parham)은 한편으로 평생 능력 사역을 추구하면서도 또한 다른 한 편으로는 평생 성화를 추구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외를 망라하여 파함의 성화론을 전반적으로 연구한 논문이 없었던 것 같다. 그래서 본 소고는 파함의 성화론을 전반적으로 탐구한다. 파함의 성화론은 크게는 “성화”(sanctification)와 “성결”(holiness)과 “종말적 구속”(eschatological redemption)으로 구성된다. “성화”는 다시 “법정적 성화”와 “온전한 성화”로 구성된다. 그래서 파함의 성화론은 “법정적 성화”, “온전한 성화”, ..

오순절신학 2025.01.03

인격으로서 성령: 오순절주의적 유산;찰스 F. 파함, 윌리엄 J. 시무어, 그리고 영산 조용기의 연속성

The Spirit as a Person: A Pentecostal Heritage: A Continuity among Charles F. Parham, William J. Seymour, and David Yonggi Cho  이창승 2024.9.16./2024.10.20.     I. 들어가는 말     영산 신학자들은 영산의 신학을 정통 오순절 신학 안에 놓으려 하기를 꺼려하는 것 같다. 그들은 그보다는 영산의 신학을 가장 넓게는 기독교, 좁게는 개신교, 더 좁게는 신오순절 갱신주의 또는 은사주의 안에 놓으려 하는 것 같이 보인다. 예를 들면, 이기성은 “방언 현상을 성령세례의 최초의 (유일한) 외적 증거로 고집하지 않으며 실제적으로 성령세례라는 표현보다는 성령충만이라는 개념을 선호한다는 점 등에서..

오순절신학 2024.10.19

오순절 교회의식론 탐구 2: 유아세례인가 헌아식(獻兒式)인가?

A Study on Pentecostal Church Ordinances 2: Infant Baptism or Baby Dedication? 이창승 2024년 3월 9일 I. 들어가는 말 한국 오순절 교단들 가운데서 가장 큰 교단은 기독교대한 하나님의 성회이다. 기독교대한 하나님의 성회는 헌법 제 2 장 “교회의 의식” 제 27조 “의식”에서 교단에서 행하는 의식 12가지를 제시한다. 그 제시 12번째에 헌아식이 있다. 그리고 기독교대한 하나님의성회 총회는 『목회예식서』를 펴냈는데, IV장 성례식에는 4. 헌아예식의 예를 제시했다. 기독교대한 하나님의 성회 교회의식에는 유아세례가 등장하지 않는다. 유아세례는 등장하지 않는 반면에, “헌아식”(獻兒式)이 등장하는 것이다. 즉, 기독교대한 하나님의 성회는 유..

오순절신학 2024.03.09

오순절 교회의식론 탐구: 성사/성례인가 의식인가?

A Study on Pentecostal Church Ordinances: Sacrament or Ordinance? 이창승 2024.02.24./2024.02.25 I. 들어가는 말 로마 가톨릭, 동방정교회, 그리고 개신교는 교회 의식(儀式)에 관한 용어와 수, 그리고 이 의식들의 성격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견해를 갖고 있다. 어떤 교회는 “성례”(sacrament)라는 용어를 쓰고, 어떤 교회는 “의식”(ordian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보다 좁혀서 가톨릭과 개신교 개혁주의는 “성사/성례”(sacrament)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며, 개신교의 침례교는 “의식”(ordinance)이라는 말을 주로 사용한다. 그렇다면 오순절주의 교회는 어떤 용어를 사용해왔고, 앞으로 어떤 용어를 사용해야 ..

오순절신학 2024.02.24

오순절적 특별계시 지속론

On the Pentecostal Continuation of Special Revelation 이창승 2023.6.7. I. 들어가는 말 성경이 기록된 이후 하나님으로부터 특별계시가 지속되고 있는가? 이에 대한 개신교적인 대답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한 가지 대답은 “아니요!”이다. 특별계시(Special Revelation) 중단론(cessationism)은 성경 기록 이후 하나님으로부터의 직접적 계시가 그쳤다고 주장한다. 루터(Martin Luther)는 “사도들은 말씀을 선포했으며 자기들의 기록을 남겼다. 따라서 그들이 기록으로 남긴 것 이상의 어떠한 것도 계시될 필요가 없으며, 새롭고 특별한 어떤 이적이나 계시도 필요치 않다”고 말했다. 루터에게 하나님께서는 외적인 말씀을 통해..

오순절신학 2023.05.29

요엘서 인용에 나타난 누가의 종말론

2002, 아세아연합신학교 ThM 과정 중 이 창 승 목 차 I. 서론 --------------------------------------------- A. 문제제기와 논지 ---------------------------------- B. 연구 범위와 방법 --------------------------------- 1. 연구 범위 ------------------------------------- 2. 연구 방법 ------------------------------------- II. 사도행전의 구약 인용 -------------------------------- A.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 ------------------------------ B. 신약 성경의 구약 인용과 사도행전의 구약 인용 ..

오순절신학 2023.05.10

바람직한 오순절적 성경 해석을 향해

바람직한 오순절 성경 해석을 향해(이창승).pdf 바람직한 오순절적 성경 해석을 향해 이창승 순복음총회신학교, 조직신학, 조교수 jesusgate@daum.net 국문초록 소위 현대 오순절 신학자들은 저자 중심 모던적 오순절 해석가들이든 독자 중심 포스트모던적 오순절 해석가들이든 둘 다 계몽주의적/칸트적 이성관과 인식론을 전제로 삼고 역사 안으로의 초월적인 것의 개입을 배제하는 고등/역사비평을 통해 성경을 읽고 있다. 그 결과, 성경에 기록된 경험들이 역사성을 박탈당하게 되었고, 연쇄적으로 현대 독자들이 성경의 경험들을 재경험해야만 한다는 오순절주의의 기초가 무너지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오순절 해석은 구약을 덮었던 모세의 수건처럼 성경과 현대 독자 사이에 놓여 눈을 가리고 있는 역..

오순절신학 2017.06.07

오순절 성경 해석의 역사와 평가

오순절성경해석의역사와평가최종(이창승).pdf 오순절 성경 해석의 역사와 평가 이창승 순복음총회학교, 신약학, 조직신학 jesusgate@daum.net 국문초록 오순절이 태동한 이래로 오순절 성경 해석학은 “프리모던적,” “모던적,” 그리고 “포스트모던적” 형태를 띄어왔다. 초기 오순절주의자들의 프리모던적 해석은 고등비평을 거부하고 은사지속론적 관점에서 전 비평적으로 성경을 읽었으며, 성경에 기록되기 이전의 경험과 성경에 기록된 경험을 일치시키고, 성경에 기록된 경험을 현대 독자가 재경험하게 했다. 그런데 소위 저자 중심 모던적 오순절 해석가들이든 독자 중심 포스트모던적 오순절 해석가들이든 둘 다 계몽주의적/칸트적 이성관을 전제로 삼고 역사 안으로의 초월적인 것의 개입을 배제하는 고등/역사 고등비평을 통..

오순절신학 2017.06.03

오순절운동에서 신학 선행, 경험 후행성

오순절운동에서 경험보다 신학의 우선성(이창승영산신학폼).pdf   태초에 신학이 있었다: 오순절운동에서 신학 선행, 경험 후행성  이창승 국문초록  경험 선행설은 바르지 않은 것이다. 경험 선행설은 오순절운동이 경험에서 시작되었고 그 후에 신학적 연구와 설명이 뒤따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실, 오순절운동은 신학에서 시작되었으며, 경험이 뒤따랐다. 오순절운동은 일련의 과정과 함께 탄생했다. 1) 신학적 성경 연구 (성령침례의 성경적 증거는 무엇인가라는 신학 주제적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2) 그 신학적 성경연구로부터 신학적 가설 도출(방언 말하는 것), 3) 경험 (방언 말하기), 그리고 그 경험을 통한 신학적 가설 확증과 원리 확립. 오순절운동의 시초에 신학 주제적 성경연구가 경험을 선행했다. 다른..

오순절신학 2017.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