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세계의 오순절신학을 위해 KIPT

전체 글 217

오순절주의자들의 방언연구 5: 방언과 창조: 인간론, 죄론을 중심으로

III. 방언과 창조 방언의 근원은 하나님이지만, 방언의 최종 발화는 피조물인 인간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방언에 대한 이해는 하나님에 의해 창조된 인간에 대한 이해와 깊이 관련된다. 본 장을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한다. 첫 항은 방언의 발화를 가능케 하는 인간론적 기초를 하나님의 형상을 통해 탐구한다. 둘째 항은 방언 발화와 관계되는 인간의 요소들을 살피고, 발화될 때 인간의 각 요소들에게 발생하는 현상을 기술한다. 셋째 항은 그런 인간의 본질적인 가능성을 파괴 내지는 왜곡시킨 죄가 어떤 것인지를, 그리고 그 죄의 결과들을 통해 방언을 해석한다. 방언에 대한 이런 연구는 개혁주의적 인간론과 오순절주의적 인간론의 조화를 모색한다. 개혁주의적 인간론은 구원론 중심적이며 죄론으로 끝을 맺는다. 기존의 오..

오순절주의자들의 방언연구 4: 방언과 계시

C. 방언과 계시 1. 방언의 종류 a. 새 방언 마가복음 16장 17절에서 귀신축사와 신유 등과 함께 언급되는 방언은 “새 방언”(kainh glw'ssa)이다. 로드만 윌리엄스에게 “새로운”은 “그 이전에 존재하지 않던”을 의미한다. 그는 헬라어의 “새로운”(kainov")이라는 단어의 반대말이 “오래된 혹은 옛날의”(palaiov")임을 지적하며 “새 방언”을 추가적인 언어가 아니고 결코 말해진 적이 없는 영적인 말로 규정했다. 그러나 “새로운 방언”은 오순절 방언과 연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오순절 방언이 실제적으로 교회에 주어진 최초의 방언이었기 때문이다. 현상적/기록적으로 최초의 방언이 “새 방언”일 가능성도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새 방언은 언어적인 것일 수도 있다. “새 방언”(new ton..

오순절주의자들의 방언연구 3: 방언의 삼위일체 하나님적 특성

B. 방언의 삼위적 특성 방언의 본질적인 기원은 삼위일체 하나님(triune God)이다. 방언의 최종 발화는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방언의 근본적인 기원은 삼위일체 하나님이다. 본 항은 방언의 근본적 기원이신 삼위 하나님의 측면에서 방언을 해석한다. 성부와 성자의 친교의 관점에서, 성자와 성령의 친교의 관점에서, 성부와 성령의 친교의 관점에서 방언을 해석하고, 삼위일체의 친교의 관점에서 방언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이 해석은 하나님과 인간의 방언을 통한 양방 소통의 기초가 될 것이다. 그리고 성부, 성자, 성령 각위의 전유적 사역을 통해 방언을 해석한다. 1. 방언과 삼위적 친교 a. 방언과 성부 성자의 친교 방언은 하나님 우편으로 상징되는 성부와 성자의 한 본질로부터 발생한다고 말할 수 있다. 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