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세계의 오순절신학을 위해 KIPT

아버지 품속에 계신 아드님(MDiv)

요한복음의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시는 하나님 기독론

한오신 2020. 3. 22. 18:12

 

 

 

 

 

 

 

 

 

 

 

 요한복음의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ὁ ὤ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기독론 연구

 


 
한세대학교신학대학원
 신학과 성서신학전공
  
이   창   승

 

 

요한복음의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ὁ ὤ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기독론 연구

 지도 교수

 이논문을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1998년  12월   일

한세대학교신학대학원
신학과 성서신학전공
 이    창   승

 

 

 


        이창승의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주심

부심
 부심


한세대학교신학대학원
1996년 12월   일
   

 

    

 목       차


약어표

I. 서론.................................................................................................................1
   A. 문제제기...................................................................................................1
   B. 연구 방법및 범위...................................................................................3

II. 요한복음 전승의 독립성......................................................................5
   A. 요한복음의 독립성에 대한 회의.........................................................5
   B. 요한복음의 유대적 배경 제안.............................................................6
   C. 역사성과 신학성이 균형을 이루는
      독립된 전승을 가진 요한복음.............................................................7

III. 요한복음의 사도 요한의 저작성...................................................9
   A. 외적증거...................................................................................................9
   B. 내적증거..................................................................................................10
      1. 애제자의 역사성과 저작성............................................................10
      2. 애제자와 사도 요한의 동일성......................................................12

IV.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관련된 문구들의 주석.........................14
   A. 1:18...........................................................................................................15
      1. 본문.....................................................................................................15
      2. 구문분석.............................................................................................15
      3. 사역.....................................................................................................15

      4. 서언의 양식과 구조........................................................................15
        a. 양식.................................................................................................15
        b. 구조.................................................................................................16
      5. 주석.....................................................................................................18
        a.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18
           1) 본문비평........................ ......................................................18
           2) μονογενὴς의 의미................................................................19
        b. ὁ ὤ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ἐκείνος ἐξηγησατο..26           1) ὤν....................................................................................26
           2)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27
        c. ἐξηγησατο....................................................................................30

   B. 13:23, 25..................................................................................................31
      1. 13:23....................................................................................................31
        a. 본문.................................................................................................31
        b. 사역.................................................................................................31
        c. 주석.................................................................................................31
      2. 13:25....................................................................................................34
        a. 본문.................................................................................................34
        b. 사역.................................................................................................34
        c. 주석.................................................................................................34

   C. 19:34.........................................................................................................35
      1. 본문.....................................................................................................35
      2. 사역.....................................................................................................35
      3. 주석.....................................................................................................35


   D. 20:20, 25, 27...........................................................................................46
      1. 20:20....................................................................................................46
        a. 본문.................................................................................................46
        b. 사역.................................................................................................46
        c. 주석.................................................................................................46
      2. 20:25, 27.............................................................................................48
        a. 본문.................................................................................................48
        b. 사역.................................................................................................48
        c. 주석.................................................................................................49

   E. 21:20..........................................................................................................52
      1. 본문.....................................................................................................52
      2. 사역.....................................................................................................52
      3. 주석.....................................................................................................52

V. 종합적 해석..............................................................................................53
    A. 기록의 원초적 동기.............................................................................53
   B. 서론 기록 ..............................................................................................58
   C. 사랑이라는 주제와 요한 문서들.......................................................61

VI. 결론.............................................................................................................63

 참고문헌

 

                             약 어 표

성경
KJV: King James Version
NIV: New International Version
NRSV: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JB: The Jerusalem Bible

사전
TDNT.: Theological Dictionary of New Testament

주석
WBC: Word Biblical Commentary
ICC: The International Critical Commentary
TAB: The Anchor Bible

정기간행물
JR: Journal of Religion
NTS: New Testament Studies
CQR: Church Quarterly Review
ExpTim: The Expository Times

 

 

I. 서   론


A. 문제제기


 스몰리가 요한의 기독론 안에 그의 신학에 대한 열쇠가 있다고 말할 정도로 요한복음은 기독론 중심이다. 요한복음의 저자 자신이 복음서의 기록 목적을 “예수께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믿게 하려 함이요 . . .”(요20:31)라고 밝힌 것에서 이 사실이 뚜렷이 드러난다. 기독론 중심적인 요한복음에는 다른 복음서들의 기독론과는 다른 요한 만의 독특한 기독론이 펼쳐지고 있다. 그 기독론 중에 가장 특이한 것은 서문에 나타나는 로고스 기독론이다. 이 로고스 기독론에 대해서 많은 학자들이 연구하여 그 기독론의 뿌리를 영지주의, 지혜문학 전승, 헬라적 유대교 전승(특히 필로의 로고스론), 등에서 찾아내려고 노력해 왔다. 이 로고스 기독론에는 그리스도의 선재 사상이 나타나는데, 선재하신 로고스는 태초에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그 로고스는 곧 하나님이시라고 선언되고 있다. 이러한 사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서문의 끝에(18절) 나타나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에 대해서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특히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이라는 말에 대해서는 지극히 단편적 연구가 이루어져있을 뿐이다. 물론 주석가들에 의해 관계된 절들에 대한 주석이 있어 왔으나 요한 복음 전체를 꿰뚫어 그 의미를 연결하여 체계화시킨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 같다. 그래서 필자가 보기에 관계된 절들에 대한 주석도 깊이를 잃고 그 의미가 방향을 잃고 있다.
 “품” 또는 “옆구리”라는 말은 다른 복음서들에서는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 요한 복음 특유의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이 “품”이란 단어는 요한의 신학을 독특하고 보다 깊이 있는 것으로 만든다. 또한 이 “품”이란 말은 요한의 기독론을 보다 생생하고,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것으로 만든다. 요한에게 예수님은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으로서 세상에 육신으로 오신 분이시다. 그런데 요한은 이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그리스도의 사상을 어떻게 갖게 되었는가? 종교사학파들의 주장처럼 주변 타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인가? 아니면 어떤 사람들의 주장대로 독립적이지 않은 공관복음서의 전승에 단지 요한 자신의 신학적인 변용을 가한 것의 비역사적인 산출물일 뿐인가? 요한의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그리스도 사상의 원천, 또는 기원은 무엇인가? 또한 그의 기독론에 있어서 이 “아버지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이란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전체 그의 복음에서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은 어떤 의미를 갖는가?
 본 소 연구에서 필자는 요한복음의 예수 전승은 공관복음서들과는 독립적인 것이며,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도 요한복음이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는 전승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본다. 물론 요한은 지혜전승(Wisdom Tradition), 예언전승 등등의 유대교적 전승에 깊은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영향은 요한을 둘러싸고 있는 전승적 문맥에서 추정할 수 있을 수 있는 개연성이 있을 뿐 확실히 그렇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필자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대한 요한복음만의 독립된 전승은 단순히 다른 사람에 의한 구전이나, 문서전승이 아니라 예수님의 사랑 받는 제자였던 사도 요한 자신이 그리스도의 공생애를 주목하여 눈으로 보고, 그리스도와 함께 생활하면서 몸으로 체험한 직접적인 경험의 산물로서 역사적이며, 이 역사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영적 사실(spiritual fact)을 기록한 신학적인 것이라고 본다. 그의 독특한 기독론을 형성케 한 역사적 체험들과 그에 대한 요한의 해석과 신학사상은 관련 본문의 기록에 잘 드러나 있다. 그런데 이 기록은 단지 요한 자신만의 사상적 활동에 의한 것이 아니며 성령의 인도하심에 의한 깨달음에 의한 것이라고 본다. 

 

B. 연구 방법 및 범위

 

 본 연구는 먼저 II 장에서 요한복음의 예수 전승의 독립성(the independency of the tradition of Jesus of John's Gospel) 문제를 살펴본 후, 요한복음의 사도요한의 저작성을 살펴보고, 그 다음 III, IV 장에서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관련된 구절들을(관련된 세 단어들--‘품’, ‘가슴’, ‘옆구리’--이 나타나는 구절들) 주석하고, 그 기원을 추적해보며, 마지막으로 V 장에서 하나로 꿰어 기독론적인 종합적 의미를 밝혀 보고자 한다.
 관련된 구절들을 주석 함에 있어 지금까지 주석가들의 연구결과들을 검토할 것이다. 필자는 본 논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그들이 사용한 다양한 방법들과 그 결과들을 수용, 혹은 비판하며 필자의 견해를 피력하려한다. 그런데 자료들을 예상되는 역사적 시간에 따라 재배열하고, 자료의 구전단계와 본문이 발생한 공동체에 대한 연구, 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를 구별하고 이별시키려는 시도(극단적 역사비평과 양식비평 등)들은 본 연구에서 의도적으로 제외하였다.
 본문들에 주로 문학비평을 가할 것이다. 이러한 비평 방법들은 근본적으로 본문 뒤의 정황(context)을 고려하지 않고 주로 본문(text)을 공시적(synchronic)으로 다루며, 정경에 나타난 대로의 구조와 문맥을 중요시한다. 필자는 대체로 문학 비평적 방법을 따라 요한복음 본문에 나타난 대로의 구조를 따를 것이다. 반복되어 나타나는 단어와 그 단어가 사용되는 사건에 대한 집중연구, 그리고 그 사건 기록의 근본적 동기(motif) 연구가 문학 비평적 방법에 따른 것일 것이다. 그러나 공시적 방법만으로는 의도하는 연구가 다 이루어질 수 없다. 전승비평을 통해 정경 상에 나타나는 연구에 필요한 전승뿐만 아니라 유대교 문학을 통해 나타나는 전승을 추적해보며, 언어비평을 통해 필요한 단어 의미의 역사적 변천을 살피고 본문의 문맥 안에서의 의미를 추구하는 통시적(diachronic) 방법도 사용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들에 역사적 연구(Historical study)를 더한다. 본문에 드러난 요한의 예수 경험 기록을 꾸며진 문학상의 표현으로 보지 않고, 실제 일어났던 역사적 사건으로 본다. 또한 요한 복음에 기록되지 않은 공관복음서에 나타나는 요한의 예수 경험-변화산에서의-을 더하여 요한의 예수 경험에 대한 부분적 역사를 구성하려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본문의 세계로 들어간 후, 그곳으로부터 본문의 배후로 왕복하면서 요한이 증언하고 있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의 기원이 무엇이며, 또한 요한은 그 기독론을 통해 무엇을 말하려고 하였는지 살펴볼 것이다.

 

 

II. 요한복음 전승의 독립성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대해 필자는 그 기원이 요한의 경험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그 주장의 논리 전개에 있어서 요한 복음 전승의 공관복음과의 독립성, 그리고 요한복음의 요한의 저작성에 대한 언급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지금부터 먼저 공관복음(Synoptic Gospels)에 대한 요한복음 전승의 독립성 문제를 살펴보고, 다음 장에서 사도 요한의 요한복음 저작성 문제를 살펴보려 한다.

 

A. 요한복음의 독립성에 대한 회의

 

 20세기 중반까지 요한복음의 저작성의 문제가 비평적 신약 학자들에게 중요한 문제로 남았었다. 이 저작성 문제는 과연 요한복음이 요한의 저작인가에 대한 것이었다. 이 질문에 대해 학계는 요한복음의 사도적 저작성을 받아들이는 측과 그렇지 않은 측으로 뚜렷이 갈라졌다. 웨스트코트(B. F. Westcott)같은 보수주의자들은 제 4복음서 전체가 온전히 사도요한의 작품인지는 알 수 없으나 대부분은 그의 저작이라고 주장하였다. 반면에 로이시 (A. Loisy)같은 급진주의자들은 그 복음서를 요한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공관복음서의 비역사적인, 신학적 재구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여겼다. 플라이더러(Otto Pfleiderer) 등 종교사학파는 제 4복음서를 단순히 기독교 복음의 헬라화 과정 후기 단계의 소산으로 묘사하였다. 이러한 회의적 비판의 흐름은 영국 이신론(Deism)의 영향을 받았던 E. 에반손(E Evanson)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제 4복음서와 계시록 사이의 대조점들을 강조하였다. 이 대조에서 그는 제 4복음서가 2세기경 플라톤의 영향을 받은 한 철학자에 의해 써졌다고 주장하였다.

 

B. 요한 복음의 유대적 배경 제안

 

 1920년대에 이르러 제 4복음서의 그리이스적 성격을 전제로 한 선입견에 맞서는 하나의 반작용이 일어났다. 보수주의 학자 슐라터(Adolf Schlatter)는 이 복음서의 무대가 본질적으로 유대적이라고 제안하였다.
   1922년 옥스포드 구약신학 교수 버니(C. F. Burney)는 단순히 요한이 유대적 배경에 의존하는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원래 아람어로 썼다는 사실을 입증하려 하며 슐라터의 입장을 계승 발전시켰다. 오늘날 이 견해를 지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이 책은 종교사학파가 주장하는 헬라적 기원문제를 일체 거론하지 않았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이러한 요한복음의 유대적 배경에 대한 신빙성이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더해졌다. 특히 1947년에 사해사본(쿰란사본)이 발견되면서 요한복음의 유대적 배경에 대한 신빙성이 더욱 더해졌다.

 

C. 역사성과 신학성이 균형을 이루는
      독립된 전승을 가진 요한복음

 

  이 논쟁 과정에서 현안이 된 주요 질문은 그 저자 문제로 집약된다. 요한복음은 사도적이며 따라서 ‘역사적’인 책으로 간주하든지, 아니면 그것은 사도와는 무관하며 따라서 ‘신학적’(내지 헬레니즘적)일 뿐이라고 할 수밖에 없었다. 근본 가정이 전체 논쟁의 진행 과정에 따라다녔으나, 끝내 설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았다. 이 가정은 곧 기록연대가 가장 늦은 복음서인 요한복음이 공관복음의 일부, 또는 전부에 직접 의존하였다는 것이다. 라이트푸트 (R. H. Lightfoot)는 요한복음 기자는 부분적으로는 실제 사건들 내지 최초 전승에 비추어서,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처음 두 세대의 제자들이 겪은 경험에 비추어서 예수의 인격과 사역이라는 기독교의 신비를 해석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1957년 로빈슨(J. A. T. Robinson)의 ‘제 4복음서에 대한 새 시각’에 의해 살펴본 주장들은 ‘옛 시각’이 되어 버렸다. 그는 4복음서 기자가 최소한 공관복음서 중의 하나를 포함하는 원자료들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려 하였다. 로빈슨에 의해 언급된 이 가정들 중 가장 심각한 것은 요한이 어느 정도라도 공관복음서에 의존하고 있다고 시인하고 나면, 이어서 공관복음과 요한복음 전승 사이에 상충되는 부분이 나타나는데 그때 그 다른 점들을 해명하는 유일한 방도는 제 4복음서 기자가 자신의 목적에 맞추기 위해 그 자료를 고쳤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스몰리는 요한 전승과 공관 전승 모두의 경우에 나타나는 이야기 자료의 두 표본을 검토한 후 두 경우 모두에 있어서 두 전승들 사이의 유사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상의 차이점들이 명백하게 드러난다고 결론지으며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요한복음이 공관복음서의 자료에 의존하였으며, 그들의 ‘역사’를 하나의
   ‘신학적’ 관점에서 재서술하였다고 믿는 사람들에게 이것은 난제가
   아닐 수 없다 . . . . 그러므로 하나의 결론은 요한의 전승이 독립적
   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는 담화자료를 살펴본 후 요한 복음과 다른 복음서들 사이의 유사점들을 검토할 때, 요한은 공관복음서를 바탕으로 재서술한 것이 아니라, 차라리 그 자신의 고유의 방식으로 공관복음서에 병행하는 한 기독교 전승을 보존하고 있다고 상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예수 전승에 대한 요한의 기록이 독립적이므로, 이것을 반드시 역사적으로 신빙성 없는 것이라고 간주할 수 없으며, 오히려 그 역을 생각할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로빈슨은 이 문제에 대해 “요한복음에서 신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래도 요한복음에서 우선적으로 중요한 것은 “역사” (prose narrative)이다. 이 복음서에 있어서 계시의 장소로서 역사는 중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제는 공관복음서들은 ‘역사’이고, 요한복음은 ‘신학’이므로 요한복음이 다른 복음서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분명히 요한복음이 틀린 것이라고 말할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즉 요한복음도 다른 세 복음서들처럼 역사적인 동시에 신학적이며, 신학적인 동시에 역사적인 책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요한복음의 예수 전승 역사성과 신학성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독립적 전승의 산물이라면 전승 안에 있는 “하나님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관련된 전승도 역사를 기반으로 한 그 신학적 해석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독립된 전승이다.

 

 
III. 요한복음의 사도 요한의 저작성

 

 요한복음은 다른 세 복음서들과는 다른 전승적 독립성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승적 독립성을 갖고 있는 요한복음의 저자는 과연 누구인가? 단정적으로 말하면 그 저자는 사도 요한 이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요한복음의 저자가 사도 요한인 것을 알 수 있는가? 지금부터는 그 근거를 성경 외적, 내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성경 외적인 교회전승에 나타난 증거들을 통해 사도 요한의 저작성을 살펴보고, 다음에 성경 내적인 증거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A. 외적증거


 A. D. 2세기 이후의 그리스도교 전승은 제 4복음서를 사도 요한과 결부시켰다. 폴리갑의 제자인 이레니우스(AD 130-202)는 플로누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폴리갑은 그들에게 예수의 교훈 및 이적들에 관해 습관적으로 담론하곤 했는데 그 내용은 요한 및 주님을 본 적이 있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전수되어 왔던 것이었다. 이레니우스는 ‘이단반박’(Against Heresies)에서 요한이 그 복음을 전해 주었다고 증언하였다. 또한 이레니우스는 ‘이단반박’ 제 3권에서 최후의 만찬석에서 예수의 가슴에 비스듬히 기대앉았던 ‘주의 제자, 요한’이, 다른 복음서들이 기록된 후에 에베소에서 복음을 ‘내어놓았다’고 말하였다.

 

 

 Afterwards, John, the disciple of the Lord, who also had leaned upon His breast, did himself publish a Gospel during his residence at Ephesus in Asia.

 


 
Contra Haereses
iii. 1. 1.

 

 

사도 요한의 육성을 들을 수 있었던 폴리갑 감독을 통한 사도 요한에의 접맥을 근거로 할 때, 세베대의 아들 요한이 그 사랑 받은 제자였다는 사실과 그가 자신의 만년에 에베소에서 그의 복음서를 간행하였다는 사실은 분명하여진다. "요한에 의한 복음“ (The Gospel according to John)이란 표제는  P66에서 처음 발견되는데, 이 파피리 사본은 2세기 후반의 것으로 추정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교회의 초기 전승은 세베데의 아들 사도 요한이 요한복음의 저자임을 보여주고 있다.

 

B. 내적증거


  1. 애제자의 역사성과 저작성


 외적인 증거가 사도 요한의 저작성을 말하는 데 내적인 증거는 어떤가? 요한복음 본문에는 저자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단지 21:24에 ‘예수께 사랑을 받은 그 제자’(ὃν ἠγάπα ὁ Ἰησούς)가 ‘이 일들을 기록한’ 자로 언급되어 있다. 불트만(R. Bultmann)과 팸먼트(M. Pamment)는 이 애제자를 역사적 인물로 보지 않고 유대 기독교의 대표인 베드로와 견주는 이방 기독교를 대표하는 상징적 인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애제자의 죽음을 암시하고 있는 21:20-23으로 미루어 본다면, 애제자는 오히려 역사적 인물이었을 개연성이 그 반대 경우보다 훨씬 높다. 불트만은 13장의 애제자와 21장의 애제자는 서로 다르며 21장의 애제자는 상징적 대표가 아니라 역사적 인물이라고 처리한다. 한편 모리스(L. Morris)와 존슨(N. E. Johnson)은 애제자는 역사적 인물이라고 보고 있다.
 로빈슨은 요한복음 전체가 애제자 한 사람의 작품인 것으로 보았다. ‘예수께서 사랑하시던 그 제자’는 요한의 복음서 안에서 다섯 번 언급되었지만 다른 복음서들에서는 일체 언급되지 않았다. 이 용어는 수난기사의 서두에서부터 나타난다. 13:23에서 예수께서 사랑하신 그 제자는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의 품에 가까이 기대어 있다가 베드로의 요구로 선생님을 배반한 자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 한다. 19:26이하에서 그는 십자가 곁에 예수님의 모친 마리아와 더불어 서 있었다. 20:2-10에서 베드로와 그가 빈 무덤을 발견한다. 21:7, 20-23에서 그는 물고기 153마리 포획의 표적에서 베드로와 관련되어 있으며, 부활하신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시인한다. 21:24은 ‘사랑 받는 제자’라는 문구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분명히 그를 지적하면서 바로 그 제자(21장의)가 ‘이 일들을 증거하고 있으며’ 또 ‘이 일들을 기록하였다’고 주장한다.

 2. 애제자와 사도 요한의 동일성
 그렇다면 요한복음 내에서 요한복음을 기록한 것으로 증거되고 있는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는 누구인가? 슈나켄부르크(R. Schnackenburg)는 애제자가 요한복음 배후에 있었던 역사적 권위였으나, 그가 곧 복음서 저자는 아니라고 하였다. 그러나 쿨만은(O. Cullmann)은 애제자가 곧 요한복음서 저자라고 전제하였다. 더나아가 모리스와 존슨은 애제자가 요한복음서의 저자이며, 그 애제자를 세베대의 아들 요한과 일치시킨다. 제 4복음서에 있어서 사랑 받은 그 제자는 공관복음서 안에서 사도 요한에게 몫지워진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는 요한복음의 최후 만찬 상응 장면에 등장하고 있으며, 따라서 열 두 사도의 일원이었을 가능성을 띤다. 그는 시몬 베드로와 연관되어 있으며, 베드로와 더불어 예수 자신과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공관복음서에 나타난 사도 요한은 베드로와 빌립과 함께 열두 제자들 중 “핵심 그룹”(inner group)이었다. 예수님께서는 몇 번의 중요한 일들이 있었을 때 다른 사도들은 다른 장소에 머물게 하시고 오직 세 사도들과 동행하셨다. 회당장 야이로의 딸을 살릴 때 예수님께서는 요한과 베드로와 야고보 외에 아무도 따라옴을 허락하지 않으셨다 (막5:37). 변화산에 오르실 때도 다른 제자들은 산밑에 남겨졌고 그 세 제자들만 따로 데리고 가셨다 (막9:2). 겟세마네 동산에서도 다른 제자들은 멀리 앉아 있으라 하시고 그 세 제자를 데리시고 다른 곳으로 가셔서 자기의 고민하는 마음을 말씀하시고 깨어 기도할 것을 부탁하셨다 (마14:32-33). 이렇듯 요한은 열 두 사도들 중에서도 예수님의 특별한 사랑을 받은 세 사도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애제자가 만일 세베대의 아들 요한이 아니었다면 본 복음서에는 21:2의 ‘세베대의 아들들’이라는 표현 이외에는 사도 요한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것은 베드로, 안드레, 빌립, 도마, 나다나엘, 가룟 시몬의 아들 유다, 그리고 또 다른 유다 등 수많은 사도들의 이름을 밝히고 있는 복음서에서는 특이한, 있을 수 없는 현상이 아닐 수 없다. 더우기 세례 요한은 항상 단순히 요한으로 지칭되고 있다. 그것은 아마도 이 요한이 사도 요한과 혼동될 우려가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헨드릭슨은 저자가 다른 제자들의 이름을 말한 반면 요한이나 그의 형제 야고보를 말할 때는 뚜렷하게 지적하고 있지 않음을 주목해야한다고 하였다. 스몰리(S. Smalley)는 성서 내적 논증을 통해 예수의 사랑받은 그 제자는 사도 요한 이었다고 단정지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요한복음은 성경 외적인 증거와 그 복음서 자체에 기록된 대로 예수님의 사랑을 받던 애제자--역사적 인물이었던--, 그 애제자가 요한복음을 기록하였으며, 그 애제자는 곧 사도 요한이었다.

 

 
IV.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관련된 문구들의 주석


 지금까지 요한복음은 공관복음과는 독립된 전승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전승의 기록자는 예수님의 애제자였던 사도 요한인 것에 대해 언급하였다. 이제부터는 본격적으로 사도 요한이 요한복음에 기록한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대한 관련 문구들을 주석하려 한다.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관련된 문구들은 직접적으로는 1:18이며, 그와 관련된 문구는 ‘품’ (κολπος)이라는 단어가 나타나는 13:23이다. 그리고 ‘가슴’ (στήθος; 13:25과 21:20)과 ‘옆구리’ (πλευρα; 19:34 그리고 20:20, 25, 27)라는 두 단어가 ‘품’과 관련된 단어이다.
 관련된 문구들은 문학 구조적으로 1:18절은 서문에 속하며, 13:23과 19:34은 ‘영광의 책’ 중에 수난 기사, 20:20-27은 부활 기사에 속한다. 그리고 21:20은 결말(Epilogue)에 속한다.

 

A. 1 : 18


  1. 본문


    Θεὸν οὐδεὶς ἑωρακεν πωποτεʹ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ὁ ὤ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ἐκείνος ἐξηγησατο.

 

  2.. 구문분석


   οὐδεὶς(아무도)          ἑωρακεν(보았다)             Θεὸν(하나님을)
                               πωποτε(전혀..않았다)
   θεὸς(하나님이)         
            μονογενὴς(독생하신)
         ὁ(그 분이)        ὤν(계시다)
                                εἰς(..으로, ..안에)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아버지의 품)
      ἐκείνος(그 분이)     ἐξηγησατο(나타내셨다)

 

  3.. 사역:
       아무도 하나님을 보지 못했으나,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그 분이 나타내셨다.

 

  4. 서언의 양식과 구조


   1). 양식


 후커(Morna D. Hooker)는 요한복음 서언을 하나의 신학적 논문으로 보았고 불트만(R. Bultmann)은 계시담론과  신앙고백을 오가는 한 편의 제의적 의전시(cultic-litergical poetry)로 보았다. 그러나 로빈슨(J. A. T. Robinson)은 서언이 찬송시와 신학적 주석과 역사적 진술들(theological commentary and historical statements)이 혼합된 것이라고 보았다.
 브라운(R. E. Brown)은 서언(Prologue)에는 본래의 찬양시(original hymn)가 있었고, 거기에 두 단계의 첨가 과정을 통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것으로 보았다. 그에게 18절은 본래 시의 4번째 연(the fourth strophe)에 ‘사랑의 자리에 사랑’을 설명하기 위해 17절과 함께 첫 번째로 첨가된 것으로 본다. 이와는 반대로 로빈슨은 서언이 본래 산문(prose)으로 구성되었는데, 나중에 신학적인 반성을 토대로 시형태의 문장들이 첨가된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J. H. 버나드(J. H. Bernard), De Ausejo, H. C. 그린(H. C. Green) 등은 18절을 본래의 시 부분에 속한 것으로 본다. 필자는 버나드의 견해를 따른다.

 

  2). 구조


 1:18은 서문의 마지막 절이며 1절과 교차대칭 구조(Chiastic Structure)를 이루는 절이다. 스탤리는 18절까지의 본문을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A 로고스와 각 개념과의 관계               1-5절
         a) 하나님
         b) 창조
         c) 인류
       B 요한의 증거                           6-8절
          C 빛 또는 로고스의 여행             9-11절
              D. 능력의 선물                    12-13절
          C' 로고스의 여행                     14절
      B' 요한의 증거                         15절
   A' 로고스와 각 개념과의 관계             16-18
           c) 인류
           b) 재창조
           a). 하나님 [로고스-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

 

 18절은 1절과 14절을 결합하여 놓은 것 같다.

 

      1- 말씀이 계시니라 이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
                      이 말씀은 곧 하나님이시니라
      14-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아버지의 독생자의 영광이요
      18- 하나님을 본 사람이 없으되 
                      아버지 품속에 있는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느니라

 

 1절의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와 14절의 “아버지”가 합하여져 “아버지의 품속”으로, 1절의 “하나님”과 14절의 “독생”이 합하여져 “독생하신 하나님”으로 결합된다. 14절의 “아버지의 독생자”는 14절에서 “독생하신 하나님”으로 바뀐다. 말씀은 곧 아버지의 독생자이며, 아버지의 독생자는 독생하신 하나님이시다. 1절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니”는 18절의 “아버지 품속에 있는”과 평행어로 나타난다. 14절의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매”는 18절의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느니라”와 평행을 이룬다.

 

5. 주석


   1). ‘모노게네스 테오스’(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1). 본문비평:


 P66 א* B C* L등은 관사없이 ‘모노게네스 테오스’(μονογενὴς θεὸς)로 기록하고 있으며, P75 אC 33 cop pesh Gnostics, Irenaeus, Clement, Origen 등은 관사첨부하여 ‘호 모노게네스 테오스’(ὁ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로 기록하고 있고, A C3 K Wsupp X Δ Θ II Ψ cur Eusebius, Athanasius, Chrysostom 등 4세기 문서들로 추정되는 대부분의 소문자 사본들(uncilas), 흘림체 사본들(cursives) Latin VSS.와 교부들의 문서들은 ‘독생하신 아들’ (ὁ μονογενὴς υἱος)로 기록하고 있다. RSV, JB, 등이 Son이라고 번역하였으며, NIV 등이 God라고 번역하였다.
 아들 (υἱος)이 뒤따르는 절에 의해 요구되는 것 같기도 하고, 요한 문서의 용법과 일치한다 (3:16; 요일 4:9; cf. 요 1:14). 그렇지만 이것은 단지 보다 쉬운 독법 (lectio facilior)을 위한 본문 변형 (textual variation)이다. 아들은 말씀이고, 말씀은 이미 하나님 (θεὸς)라고 선언되었다. 그래서 요한은 서문의 맨 끝에서 1절에 진술된 명제로 의도적으로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하나님을 나타내신 분은 ὁ μονογενὴς υἱος이거나 ὁ μονογενὴς(독생하신 자) 곧 본체가 없는 독생자가 아니다. 그리고 정관사가 붙은 ὁ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라고 하면 몇몇 신들이 있다는 것을 시사할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그 중에 하나가 독생자인 것처럼 오해하기 쉽다. 그러므로 정관사가 없는 것은 우리에게 그 용어의 질적 개념을 더 강화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므로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로 읽는 것이 원문에 가장 가까운 독법이다.


  (2). ‘모노게네스’(μονογενὴς)의 의미
 전 신약성경 기자들 중에 유일하게 제 4복음서에서 만 ‘모노게네스’(μονογενὴς)라는 용어를 예수님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요한에게 특유한 이 단어에 대한 의미를 추적해 본다.


  a. ‘독생하신’ (Only-begotten)


 KJV, NASB 등은 μονογενὴς를 ‘독생하신’(only begotten)으로 번역하였다. 이러한 번역의 근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불가타역(Vulgate)에 이른다. 제롬(Jerome)은 아리안 주의자(Arianists)들이 예수님께서 “태어난” (begotten) 분이 아니시고 “만들어진” (made) 분이시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예수님은 낳아지신 분이라고 대답하였다. 제롬은 이러한 논쟁 속에서 μονογενὴς를 ‘유니게니투스’(unigenitus)라는 라틴어로 번역하였다.
 요한복음에서 모노게네스가 ‘탄생’(birth) 또는 하나님으로부터 ‘낳아지시는’(begetting) 분임을 의미하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는 아주 명확한 것은 아니다. 요한이 요일 5:18에서 예수님을 ‘호 게네테이스 엨 투 테우’(ὁ γεννηθεις ἐκ τού θεού) 라고 지칭한 것을 보면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뷔크셀 (F. Buechsel)은 이러한 이유 때문에 μονογενὴς가 또한 ‘하나님에 의해 낳아지심’ (begetting by God)이라는 의미를 포함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렌스키를 비롯한 대부분의 학자들은 탄생의 개념보다는 아버지와 아들간의 영원한 은유적 관계를 묘사하는 것으로 본다. 그 이유에 대해 렌스키는 “Only-begotten”은 처녀 마리아의 태 속에 잉태된 인성을 의미하며, 이러한 인성의 의미에서만 말씀이 only-begotten이 되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b. ‘유일한’ (unique), ‘비교할 수 없는’ (unparalleled, incomparable)


 그런데 μονογενὴς는 헬라문학에서 ‘출생’(birth)보다는 ‘유래’ 또는 ‘기원’ (derivation)의 의미를 갖는다. διο-γενὴς, γη-γενὴς, εὐ-γενὴς, συγ-γενὴς 등의 합성어에서 그러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μονο는 출처(source)를 의미하지 않고 기원의 특성(the nature of derivation)을 의미한다.  그 특성은 ‘유일한’, 또는 ‘비교할 수 없는’ 것이다. 파르미(Parm.)는 “because unbegotten, incorruptible, whole, unique(μονογενὴς), and without end"라는 표현을 하였는데, 이 표현 중에서 unique는 unbegotten과 동등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플라톤(Platon)은 Tim., 31b에서 “εἶς ὅδε μονογενής οὐρανος”라고 썼는데 그는 모노게네스로 εἶς를 강조하였다.
 클래맨트 2서 25:2에서는 불사조 페닉스(Phoemix)가 μονογονες ὑπαρχον으로 묘사되어 있다. 여기서 또한 μονογονες는 “유일한”(unique)라는 의미를 갖는다.
 70인역(LXX)에서 μονογενὴς는 די?? (yahid)를 번역하는 단어로 사용되었다. 희년서 11:34(Ju. 11:34)에서 μονογενὴς는 ‘유일한 자녀’(the only child)를 의미한다. 시편 21:21 (ψ21:20, 34:17)에서는 ‘예히타티’(י??י??)가 ‘네페쉬이’(י???)와 평행을 이루며 영혼의 유일성을 나타내고 있다.

 

      י???      ב???      ה?י??  
  ׃  י??י??  ב?? ד??                 
      Deliver   my soule      from the sword,
               my only one   from the power of the dogs.

 

 또한 LXX는 시25:16 (ψ24:16)의 키 야히트 웨아니 아니‘(י?אָ י??? די??־י?)를 ’호티 모네게네스 카이 프토코스 에이미 에고‘(ὅτι μονογενης καὶ πτωχος εἰμι ἐγω)라고 번역하였다. 누가복음에서 나인성의 과부의 아들은 ‘유일한 아들’이며 (7:12), 회당장 야이로의 딸은 ‘유일한 자녀’이고 (8:42), 귀신들린 아들은 아버지의 ‘유일한 아들’이다 (8:42).
그러므로 요한의 μονογενὴς도 ‘유일한’으로 번역할 수 있다. RSV, JB 등이 이 견해를 따라 번역 only"로 번역하였다.

 

   c. ‘가장 우월한’ (πρωτοτοκος, superior) αγαπητος πρωτοτοκος


 외경 솔로몬 시편 18:4과 에스드라하 6:58에서 모노게네스는 프로토토코스와 나란히 쓰여졌다. ‘오스 휘온 프로토토콘 모네게네’(ῳς υὶὸν πρωτοτοκον μονογενή)에서 모노게네스와 프로토토코스는 전적으로 동의어이다. 또한 필로 위서 39:11에서는 두 단어가 중복되면서 동의어로 쓰여졌다.
 골로새서 1:18에서 바울은 그리스도를 ‘프로토토코스 엨 톤 네크론’(πρωτοτοκος ἐκ τών νεκρών: 죽은자들 중에서 프로토토코스)으로 부른다. 그런데 여기에서 시간적인 우월성 (priority in time)이 유일하게 중요한 면이 아니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마지막 날에 있을 사람들의 부활에 대한 서곡(the prelude)이다. 그래서 프로토토코스는 그리스도의 유일하고 가장 우월한 지위(the unique superior rank)를 의미하였다. 칼빈은 요한이 예수님께 대해 μονογενὴς라고 지칭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사람들과 천사들 위에 놓고 그가 어떤 피조물에도 속하지 않는 유일한 분이라고 선포하기를 원하는 것 같다고 하였다.

 

   d. '사랑 받는‘ (αγαπητος, beloved)


 LXX는 μονογηνες라고 번역하였던 די?? (yahid)를 또한 ‘아카페토스’(αγαπητος)라고도 번역하였다 (창 22:2, 12, 16; 렘 6:26; 암 8:10; 슥 12:10). 창세기 22장에 아브라함의 이삭 번제로 드리기와 같은 사건에 대한 언급에서 히브리서 기자는 이삭을 아브라함의 μονογονες로 지칭한다 (히11:17). MT(마소라본문)에서 이삭을 아브라함의 די??라고 지칭하였는데, LXX는 예히드를 αγαπητος라고 번역하였고, 히브리서 기자는 μονογηνες라고 지칭한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μονογηνες가 αγαπητος(사랑 받는)이라는 의미와 서로 교환되어 사용될 수 있는가? 그것은 유일한 자녀는 그 부모들의 특별한 사랑을 받는 것에서 기인한 것일 것이다. 예수님의 세례를 받으실 때 물에서 올라올 때와 변화산에서 ‘호 휘오스 무 호 아가페토스’(ὁ υἱος μου ὁ ἀγαπητος: 나의 사랑하는 아들)라고 울린 하나님 아버지의 음성(막 1:11; 마 3:17; 눅 3:22; 막 9:7; 마 17:5)은 요한의 ‘독산 호스 모노게누스 파라 파트로스’(δόξαν ὡς μονογενυς παρα πατρος) (요1:14)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ὁ ἀγαπητος υἱος는 ὡς μονογενυς와 동일한 평행어이다.
 그런데 렌스키는 분명 독생자는 아버지의 사랑 받는 자였지만 두 용어가 동일한 동의어로 만드는 것은 방향을 잘못 잡은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독생자는 존재론적 의미를 가지며, 사랑 받는 자는 윤리적 관계와 태도를 의미한다며, 두 단어의 범주를 구분하였다. 창세기 22:2절의 본문에서 ‘예히드’(די??)와 ‘아하브’(ב?אָ: 사랑하다)가 나란히 함께 나타나는 것은 렌스키의 주장을 뒷받침해 주는 듯 하다. 대부분의 영어 성경 번역서들이 렌스키처럼 LXX를 따르지 않고 “your only son Issac, whom you love"라고 번역한 NKJV를 따르고 있다.
 그러나 브라운은 14절에서 요한이 “우리가 그 영광을 보니 독생자의 영광이요”라는 어구를 주석 하면서 ‘우리’를 베드로와 야고보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영광을 경험한 사건을 변화산에서의 사건과 동일시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변화산에서 들려온 ‘호 아가페토스’(ὁ ἀγαπητος)와 요한이 증거하는 ‘호스 모노게누스’(ὡς μονογενυς)는 서로 교환될 수 있는 단어들로 보았다.

 그러므로 요한의 ‘호 모노게네스’는 아버지의 특별한 사랑을 받는 존재라고 해석할 수 있다.

 

   e. '유일한 하나님의 대행자’ (the unique Agent of God)


 지혜문학서에 속하는 잠언 8:22-26에는 여성으로 나타나는 ‘지혜’가 자기를 소개하는 말이 있다. 22절에서 지혜는 하나님께서 태초에 일하시기 전에 자기를 가지셨으며, 23절에서 만세 전부터 자기가 세움을 입었다고 말한다. 22절과 23절은 평행기법(parallelism)의 산물처럼 보인다. 22절의 ‘태초에 일하시기 전’은 23절의 ‘만세 전부터, 상고부터, 땅이 생기기 전부터’와 평행을 이루며, 22절의 ‘나를 가지셨으며’는 23절의 ‘내가 세움을 입었으며’와 평행을 이룬다. 24, 25, 26절은 22절과 23절을 부연한다. 24절에서 26절에서 지혜는 자기가 땅과 바다가 창조되기 이전에 났다고 말한다. 종합해보면 지혜는 ‘나를 가지셨다’ (י???), ‘내가 세움을 입었다’, ‘내가 났다’ (י???וֹח)는 말들을 평행법에 의해 동의어들로 사용하고 있다. ‘내가 세움을 입었다’는 ‘닢파크티’(י????)의 번역으로 본래 ‘내가 자리에 앉힘을 받았다’의 뜻이며 ‘내가 지명되었다’ (I was appointed, NIV)라고 의역할 수 있다.
 하나님께서 땅과 바다를 만드시기 전에 가지신, 낳으신, 지명하신 .지혜는 하나님의 하늘과 땅 창조의 대행자(agent, 도구)였다. 잠 3:19에서 기자는 여호와께서 지혜로(ה????) 땅을 세우셨다고 말한다. 지혜도 자기 자신이 하나님께서 하늘을 창조하실 때 ‘아몬’(ןוֹמאָ)이었다고 말한다 (잠 8:30). ‘아몬’(ןוֹמאָ)은 ‘숙련공’, ‘건축가’, ‘장인’을 의미한다. NIV는 craftsman으로 번역하였으나 개역성경은 ‘창조자’라고 번역하였다. 즉 잠언기자는 하나님께서 하늘과 땅, 바다를 만드시기 전에 지혜를 낳으시고, 가지셔서 창조의 대행자로 세우셨고, 지혜를 통해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는 것이다.
 그런데 외경 벤 시라 (Ben Sira)는 모든 지혜가 하나님으로부터 오며(Ben Sirach 1:1), 그 지혜는 말씀 즉 토라(the Torah)라고 선언하였다.

 

   이 모든 것은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언약의 책이다.
       모세가 우리에게 명령했던 그 율법 . . . .
   (All this is the book of the covenant of the most High God.
       the law which Moses commanded us (24:23).)

 

 토라는 하나님께서 말씀으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음을 드러내었다(창1:3). 연결하여 종합한다면 지혜는 말씀인 것이다. 요한은 이 말씀이 곧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고 선언함으로서 지혜를 연상시키지만 (잠8:30), 그는 지혜문학과 토라에서 더 나아가 세상을 창조한 말씀, 곧 지혜가 곧 하나님이셨다(1:1-2)고 선언하였다. 그리고 이 말씀으로 말미암아 세상이 창조되었고, 그가 없이는 된 것이 하나도 없다고 선언하였다(1:3). 요한의 선언을 지혜문학과 토라와의 관련성에서 종합하여 본다면 창조이전에 하나님에 의해 낳아지시고, 함께 계셨고, 세워지신 지혜는 곧 말씀이며, 이 말씀이 하나님의 대행자로서 세상을 창조하신 하나님이시다.
 하나님께서 창세 전에 낳으신 분은 하나님의 창조의 대행자이시며, 또한 하나님이시다.. 하나님께서는 창조를 대행하실 지혜를, 말씀을 낳으셨다. 이러한 의미에서 μονογηνες를 ‘하나님의 유일한 대행자’ (the unique Agent of God)라고 해석할 수 있다. μονογηνες(하나님의 유일한 대행자)는 또한 하나님이시다 (μονογηνες θος). M. 톰슨(M. M Tompson)은 랍비문서에서 나타나는 ‘대행자’(saliah)에 주목하였다. 그는 랍비들이 상식적으로 “보냄을 받는 자는 그를 보낸 자와 같다”(the one who is sent is like the one who sent him" 또는 “어떤 사람의 대행자는 그 자신[보내는 자]과 동등하다”(a man's agent is equivalent to himself"라고 말했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는 유대교의 엄격한 유일신주의(strict Monotheism)의 빛 안에서 대행자(saliah)를 해석하였다. 요한은 이 보다 더 나아간다. 유대교를 넘어 요한은 “하나님의 유일한 대행자”가 하나님과 같은 분일 뿐만 아니라, 곧 하나님이심을 선언하였다. 하나님의 유일한 대행자 예수 그리스도는 대행을 위한 권세와 권능에서 같을 뿐만 아니라 존재적으로, 본질적으로 하나님과 동일한 분이시라고 요한은 선언하였다.

 

 2). ‘호 온 에이스 톤 콜폰 투 파트로스’
    (ὁ ὤ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1). ὤν
 마이어는 요한이 그 자신의 현재적 시점에서 쓰고 있고, 그리스도께서 승귀되셔서 아버지의 품으로 돌아가신 것을 묘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런데 현재분사인 ὤν은 루터가 이미 언급한 대로 무시간적인 것이다. 또는 무시간적 현재(timless present)이다. 그러나 이 것은 케제만(Kaesemann) 등이 해석했던 것처럼 예수님께서 아버지의 품에 계속 계시므로 그의 인간적 모양은 실제가 아니고 단지 형상으로 보인 것뿐이라고 하는 가현론(Docetism)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것은 예수께서 땅과 하늘에 이중적으로 존재하심을 의미한다

 

  (2). ‘에이스 톤 콜폰 투 파트로스’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아버지의 품속에)
 이 구절은 1절의 “아버지와 함께 계셨고”와 평행을 이룬다. 이 구절은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아버지와 어디에, 어떻게 함께 계셨는가를 기록하고 있다. 요한은 무엇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아 이런 기록을 하였는가? 요한이 이러한 기록을 하게되기까지 그곳에서부터 영향을 받았음직한 전승과 사상, 관습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아본다.


    a. 지혜 전승(The Wisdom Tradition)


 외경 ‘지혜서(Wisdom of Solomon) 9:9’은 지혜가 하나님과 함께 계셨다고 표현되어 있다

     Καὶ μετὰ σού ἡ σοφία ἡεἰδυία τὰ ἔργα σου,
     And wisdom was with you[God]: which knew your work

그리고 지혜문학에 속하는 잠언 8:30에는 지혜가 하나님의 "곁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וֹל?? ה????   (LXX- ἤμην παρ αὐτῷ; I was by him)

 그런데 요한은 말씀이 하나님과 함께 계셨으며, 아버지의 품속에 계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요한에서는 하나님이 아버지로 표현되며, 여성인 지혜는 남성인 말씀으로, 아들로 표현된다. 그리고 거하는 장소도 “곁에”에서 “품 속”으로 묘사된다. 요한의 표현은 잠언의 표현보다 더 가깝고, 친밀함을 나타낸다.

 

    b. 아브라함의 품 사상(The Thought of the Bosom of Abraham)


 린다스(B. Lindars)는 랍비적 자료들에서 ‘축복 받은 자들의 천상적 잔치에서 영광의 자리로서 의인의 품에 대해 말하고 있는 것을 주목하였고 (SB II.226; cf 마 8:11), 이러한 면에서 아브라함의 품에 주목하였다. 즉 이 사상과 관련지어 본다면 ‘아버지의 품 속’이란 ‘영광의 자리’일 것이다.

 

   c. 식사 관습(The Custom of Meal)


 마쉬(John Marsh)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분”은 특별히 가까운 손님에게 베푸는 식사때 주어지는 자세(또는 위치, position)로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식사때의 자세나 위치에 대한 예로서 사랑 받는 제자에 의해 최후의 만찬에서 취해진 자세를 든다. 이 관습과 관련지어 본다면 ‘아버지의 품 속’이란 ‘특별히 가까운 관계’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외에도 린다스(B. Lindars)는 유대나 고전 자료들에서 나타나는 ‘품 교제’ (the bosom companion) 사상이 자녀를 기르는 것으로부터 (룻 4:16; 삼하 12:3), 남편과 아내의 포옹으로부터 (신13:6) 온 것으로 보았다. 즉 ‘깊은 사랑’을 나타내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유대의 전승(지혜 전승과 아브라함 전승)과 식사 관습의 배경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의 의미는 “특별히 가깝고 친밀한 영광의 자리에서 깊은 사랑을 받으신”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G. B. Murray는 1:18을 “그 유일한 아들, 본질적으로 하나님, 아버지의 심장에 언제나 가까이 계시는”으로 번역하였다. 그리고 버나드는 ‘아버지의 품속에 있는’이란 말은 아들(the Son)과 아버지(the Father) 사이의 친밀한 사랑의 관계를 표현한다고 하였다.
 그런데 ‘품’이라는 단어에 관련된 배경에서 살펴본 의미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요한이 어떻게 ‘품’이라는 말을 ‘아버지’와 연결할 수 있었는가는 밝혀지지 않았다. 요한은 어떻게 독생하신 하나님이 “아버지 품” 속에 계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가? 그 관점에서 “아버지 품속에 계신”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그 기원과 참된 의미는 요한의 예수님의 품 체험과 연결시키지 않으면 결코 알 수 없는 것이다.

 

  3). ‘엨세게사토’(ἐξηγησατο)


 ἐξηγησατο는 ἐξηγεομαι의 3인칭, 단수, 1과거 직설형으로서 디포넌트 동사이며, ἐξηγεομαι는 ‘설명하다’, ‘이야기하다’, ‘묘사하다’, ‘알리다’, ‘나타내다’라는 뜻을 갖는다. 린다는 ἐξηγεομαι는 헬라문학에서 대부분 신탁이나 제사장에 의해 신적 비밀들의 선포를 위해 쓰이는 기술적 용어로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ἐξηγεομαι 에서 "exegesis"(주석)라는 말이 나왔다. 즉 요한복음은 그리스도를 아버지의 주석(exegesis)으로 묘사한 것이다. 사람들은 그들의 모든 비밀을 털어놓을 대상으로 품속에 있는 사람을 말한다. 가슴은 의논의 장소다. 그래서 요한은 아들이 아버지의 가장 깊은 비밀까지 아셨다고 가르치고 있다. 하나님의 깊은 비밀을 아시는 하나님의 대행자로서 말씀은 하나님을 계시하셨다. 칼빈(J. Calvin)은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나셨다는 것은 우리에게 복음 안에서 하나님의 품이 활짝 열려 공개된 것이라고(the breast of God laid open to us in the Gospel) 해석하였다.
 본 절에서 요한은 일찍이 아무도 하나님을 보지 못했지만 유일하시고, 가장 우월하시고, 하나님의 깊은 사랑을 받으시는, 하나님의 창조의 대행자, 곧 독생하신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비밀스러운 것을 육신이 되어 사람들에게 나타내셨음을 증언하고 있다. 그런데 그 하나님의 계시자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분이시다. 요한의 ‘아버지의 품’ 사상은 어디서 온 것인가? 지혜문학과 아브라함 전승 등에서 그 기원을 살펴보았지만 요한의 ‘아버지의 품’ 사상이 워낙 특이하여 그러한 유대적 전승들에 직접적으로 그 기원을 연결시키기가 어렵다. 정확한 그 기원과 의미의 추적은 요한의 예수님의 품 체험이 나타나는 구절들의 주석에서나 가능할 것이다.

 

B. 13 : 23, 25


  1. 13: 23


 1). 본문


 ἦν ἀνακείμενος εἷς ἐκ τών μαθητών αὐτού ἐν τῷ κόλπῳ τού Ἰησού,           ὃν ἠγάπα ὁ Ἰησούςʹ


 2). 사역: 예수님의 제자들 중 그의 품속에 기대어 누운 한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예수께서 사랑하시는 자였다.


 3). 주석


 헬레니즘적 습관인 식탁 주위에 눕는 것은 특별한 식사를 위한 것이었다. 이것이 처음에 유대적 세계에 소개되었을 때, 이것은 아마도 극단적인 타락의 표식이었을 것이었겠지만(암6:4-7), 그러나 신약 시대에서 이것은 중요한 연회들과 축제 때 정상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이것은 첫 유월절 출애굽의 저녁에는 급하게 먹었던 것과는 의식적인 대조로서 유월절 기념 때에 요구되었다.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의 자세는 그들이 유월절 식사를 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타스커(R. V. G. Tasker)는 예수께서 사랑하시던 제자는 영예의 두 번째 자리, 예수님의 오른쪽을 차지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예수님의 겉옷(garment)의 fold안에-여기서 그의 품이라고 불리는- 그의 머리를 기댄 체 그의 왼쪽으로 뒤로 기대 누워 있었다. 그의 자리를 움직이지 않고 예수님의 가슴이 닿도록 더 뒤로 기울여 그와 속삭일 수 있는 자리에 있었다.
 바렡은 식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왼편으로 기대었으며, 왼팔로 몸을 받치고, 오른팔은 자유롭게 사용하였다고 묘사한다. 따라서 예수의 오른편에 앉은 제자는 그의 머리를 예수에게 직접 맞대었을 것이므로 그의 품에 안긴 것으로 말해졌을 것이라고 한다. 분명히 그는 예수와 친근하게 말하는 자세를 취했을 것이긴 하지만 그의 자리가 영예로운 자리는 아니었다. 주빈석은 주인의 왼편에 있었다. 사랑 받는 제자가 앉은자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임 받는 친구의 자리였다. 1:18에서 외아들은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분”으로 묘사되어 있다. 하나님과 그리스도, 또는 그리스도가 보낸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강조하는 13:20은 특별히 사랑을 받은 제자가 아버지에 대한 그리스도의 관계와 똑같은 관계를 그리스도와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는 특수한 경우를 지시한다.
 예수께서는 그의 모든 제자를 최고의 사랑인 아가페로써 사랑하셨지만, 그것이 지향하는 대상이 다르고 그 표현 양태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 열 두 제자 가운데서도 가장 나이 어린 당시 약 22세의 사도 요한은 예수님의 마음을 가장 잘 이해한 사람이었다. 모든 제자의 마음이 예수에게 가까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요한이 제일 가까웠다. 로빈슨은 사랑 받는 제자를 예수님의 ‘품안의 친구’ (bosom friend)라고 불렀다. 주님의 말씀과 영은 요한의 마음을 다른 어느 누구의 마음보다도 완전히 꿰뚫었다.
 스팁(Mark W. G. Stibbe)은 이 문구가 복음서의 서문과 수사학적으로 서로 메아리침을 보았다. 1:18에서 예수님은 ‘아버지의 품안에 계신 이’(ho on eis ton kolpo tou Iesou)로 묘사되며, 여기 13:23에서 사랑 받는 제자는 예수님의 품에‘(en to kolpo tou Iesou) 기댄 것으로 묘사된다. 스팁은 비록 ’아버지의 품안에‘와 ’예수의 품에‘ 있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지만, 내포된 은유적(analogous) 상호관계가 있음을 간파하였다. 사랑 받는 제자는 예수께서 아버지와 함께 누렸던 것처럼 예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나누었다는 것이다. 그는 이것이 왜 사랑 받는 제자가 예수님과 베드로 사이에서 중보자로서 기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지적하였다 (13:23). 그리고 그는 그 사랑 받는 제자는 진정한 계시를 받는 자여서 구속자의 감추어진 비밀들이 드러난 것들을 엿듣는다(overhear)고 보았다.
 카손(D. A. Carson)은 문자적으로 ‘그의 품에 기대어 있던’의 의미는 ‘그 옆에 기대어 있던’ 이라고 의역(paraphrase)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1:18 하나님의 말씀, 곧 하나님이 아버지의 품(bosom)에 있다고 말한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 절은 예수님께서 그의 천상적 아버지와 함께 누렸던 관계처럼 그 사랑 받는 제자가 예수님과 관계에 있었다는 것을 제시한다고 하였다. 또는 그는 그 ‘사랑 받는 제자’가 교만을 의미하지 않고 은혜에 대한 빛에 관한 심오한 의미라면 사랑 받는 제자의 정체성에 대한 침묵도 예수님과 한 기저를 공유하는 것에 대한 인상조차도 주려 하지 않는 바로 그 방법일 것이라고 하였다. 요한복음의 맨 처음에서 예수님에 대한 첫 증인인 다른 요한처럼, 그는 오직 한 소리에 불과하다. 이 복음서 뒤에는 예수의 심장에 가까이 있었던 사람의 증언이 있다.

 

  2. 13:25


   1). 본문


       ἀναπεσὼν οὖν ἐκείνος οὕτως ἐπὶ τὸ στήθος τού Ἰησού λέγει αὐτῷ,              Κύριε, τίς ἐστιν;


    2). 사역:


       그가 예수님의 가슴에 그대로 의지하여 그 분에게 말한다,
          “주님, 누구입니까?”


    3). 주석


 렌스키는 예수님과 요한은 같은 침대 상에 기대어 앉아 있었으며 요한은 예수님 앞에 기대어 앉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뒤로 기대어 있다가 예수님께 말하는 요한의 머리는 예수님의 가슴(breast) 정도에 와서 의지하였다고 한다. 그러면서 그 모양을 ‘품안에’ (ἐν τῳ κὸλπῳ; in the bosom)와 동일하게 보았다. ‘그대로’(οὕτως: in this way, in the same way)는 13:23에서 애제자가 예수님의 품 안에(ἐν τῳ κὸλπῳ) 있었다는 것을 환기시키는 말일 것이다. 즉 애제자는 예수님의 품 안에 누워있는 그대로 가슴(στήθος)에 기대어 질문을 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지금까지 학자들은 서론에 나타난 그리스도와 아버지와의 관계를 최후의 만찬 묘사에 나타난 사도 요한과 예수님과의 관계에 적용시키고 있다. 즉 그리스도와 아버지와의 관계처럼 사도 요한과 예수님과의 관계가 특별한 사랑의 관계임을 말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요한의 “아버지 품” 사상이 어디서 온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일으키지도 않으면서 그것을 기원이 확실한 요한과 예수님과의 사랑의 관계에 빗대고 있다. 오히려 요한의 예수님의 품 체험을 서론에 비추어야 비로소 서론에서 나타난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이라는 말의 의미가 제대로 살아날 것이다.
 요한의 예수님의 사랑의 품 체험은 최후의 만찬이후 지극히 비극적인 체험과 놀라움과 기쁨이 범벅된 극에서 극으로의 체험으로 이어진다.

 

C. 19:34


    1. 본문


       ἀλλ εἷς τών στρατιωτών λόγχῃ αὐτού τὴν πλευρὰν ἔνυξεν,
          καὶ ἐξήλθεν εὐθὺς αἷμα καὶ ὓδωρ.


    2. 사역:  그런데 군병들 중 하나가 그의 창으로 그 옆구리를 찔렀다.
          그리고 즉시 피와 물이 나왔다.


    3. 주석


 스트라우트(W. Stroud)는 “그리스도 죽음의 육체적 원인”(Treatise on the Physical Cause of the Death of Chirst (London, 1847))에서 그 창은 예수님 심장부근의 왼쪽 옆구리를 찔렀다는 것 그리고 예수께서 심장이 터져 죽으셨으므로 비가 물과 섞여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려 하였다. 물과 피가 갑자기 쏟아졌다는 것에 대해서는 의학적으로 두 가지 설이 있다. (a). 그 창은 예수님의 심장을 찔렀고, 그 피가 심낭(pericardial sac)으로부터 나온 액체와 심장에서 합쳐져서 피와 물의 흐름이 만들어졌다. (b). 반대로, 그러한 상처로는 심낭(pericardial sac)으로부터 나온 그 액체가 몸으로부터 그렇게 쉽게 빠져 나올 수 없었다. 그 액체는 폐 주위의 공간을 채우며, 가슴강(cavity)을 채우고, 그 다음 그 창이 만든 상처를 통해 폐(lung)로 흘러 들어갔다. 또한 그는 예수님의 심장이 터진 것은 큰 정신적 고통 때문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예수께서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셨을 때 군인들이 예수의 다리를 꺽지 않았다는, 그리고 군인 하나가 창으로 그의 옆구리를(τὴν πλευρὰν) 찔렀더니 피와 물이 흘러 나왔다는 언급은 복음서 전승 중 오직 요한복음에만 나온다. 권위 있는 사본들 가운데, 가령 א, B, C, L 등, 마태복음 27:49에서 요한복음 19:34과 거의 똑같은 본문이 첨가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분명히 나중에 “어떤 독자가 마태복음의 여백에 요한의 본문을 기록해 놓았는데 후대의 사본 필사자가 그것을 억지로 본문 가운데 끌어들였을 것이다. 즉 이 본문은 요한복음만의 특수 자료에 속한다. 김득중은 다른 복음서들에서는 전혀 언급되지 않고 있는 이런 내용을 요한 만이 별도로 그의 수난 기사 가운데서 기록한 이유가 무엇이었는가를 물었다. 그리고 요한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자료라는 사실은 곧 요한복음 저자의 특별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런데다가 복음 전승 가운데 아마도 가장 중요한 수난 전승 중 예수의 죽음과 직접 관련된 내용이라는 점에서 이 본문을 통해 전하려고 하는 요한의 신학적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묻는 것은 요한복음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하였다. 더구나 요한복음 저자는 이런 내용을 기록한 후 35절에서 이 기록에 대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점은 이 본문의 중요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라고 하였다. 바렡도 “이 애매한 진술이 요한에 의해서는 분명히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a matter of very great importance)으로 간주되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요한이 이 구절에 부여한 중요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밝히려는 노력은 아직까지 그렇게 괄목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그렇다면 요한이 이 사건의 기록을 통해서 증거 하려고 했던 것은 과연 무엇이었는가? 먼저 이 사건에 대한 지금까지의 해석들을 살펴본다.

 

 a. 가현설에 대한 대항(Response against Docetism):


 L. 모리스는 요한이 유대인들은 사람의 몸이 반은 물로 나머지 반은 피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the Midrach Rabbah XV on Lev Xiii 2] 창의 찌름은 가현설(Docetic teaching)에 대항해 예수님의 몸이 진정한 인간의 몸(a genuine human corpse)임을 보인 것이라고도 하였다. J. 던 (James D. G. Dunn)도 이 본문의 주요 요점은 예수가 인간으로서 실제로 죽었음을 증거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해석을 한 최초의 교부는 이레니우스(Irenaeus)였다. 그는 “이단자들에 대한 반박”이라는 글(Adv. Haer. iii, xxii, 2)에서 "...또한 [그가 참으로 인간이 아니었더라면] 그의 옆구리가 창으로 찔렸을 때 물과 피가 흘러나오지는 않았을 것이다“라고 주장하였다.

 

  b. 이적적 사건(Miraculous Event)


 이 해석은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피와 물이 흘러나온 것을 이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죽은 사람의 경우에는 피의 유통이 정지되기 때문에 이미 30절에서 숨을 거두었다고 언급된 예수의 옆구리에서 피와 물이 흘러나온 사건은 오직 이적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브라운은 이런 입장을 지지하는 학자들로 오리겐Origen), 아퀴나스(Thomas Aquinas)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쉬나켄부르크(R. (Shnackenburg)는 여기에 로이시(A. Loisy), 바우어(F. C. Bauer), 호스킨스 다비(Hoskyns-Davey), 그리고 불트만(Bultmann)을 첨가하였다. 기랑(M. Girard)은 요한복음의 7개 표적들 중에서 7번째의 표적이 “십자가 위에서 피와 물을 쏟은 이야기”라고 주장하였다. 그래서 그는 요한복음의 7개 표적의 “교차 대칭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 물로 포도주를 만드심
              2) 왕의 신하의 아들을 죽음으로부터 구원하심
                3) 베데스다 연못에서 안식일에 병자를 고치심
                 4) 유월절에 5000명의 무리들을 먹이심
                5) 실로암 연못에서 안식일에 맹인을 고치심
              6) 나사로를 죽음으로부터 구원하심
            7)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피와 물이 쏟아짐

 

  c. 성전 휘장 찢어짐에 관한 상징적 기록(A Symbolic Writting)


 이 해석은 요2:21을 근거로 공관복음에 나오는 성전 휘장의 찢어짐에 관한 기록이 요한복음에서 상징적으로 기록된 것이라고 해석한다. 기자는 성전에 대한 예수님의 언급을 예수님 자신의 몸에 대한 언급으로 해석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도 예수의 옆구리가 찢긴 것은 곧 성전 휘장이 찢긴 것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 해석은 “그 길은 우리를 위하여 휘장 가운데로 열어 놓으신 새롭고 산 길이요 휘장은 곧 저의 육체니라”라는 히10:20의 해석과 맥을 같이한다.

 

  d. 성만찬과 세례와 관계(Relation with Baptism and Communion)


 이 해석은 본문에 나오는 피와 물에 대한 언급을 성만찬과 세례의 성례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한다. 쿨만(O. Cullmann)은 예수님의 죽음과 두 성례전 간의 연관성을 강조하면서 본문이 교회의 두 성례전을 가리킨다고 보았다. 그는 “상처로부터 흘러나온 것이 실제의 물이며 실제의 피 였듯이 세례의 물과 성만찬의 포도주 가운데 나타나는 그리스도의 현존도 실제적인 것이다”라고 하였다.

 

  e. 예수님은 유월절 어린 양(Jesus is The Paschal Lamb)


 이 해석은 “피와 물” 이야기는 곧 예수님을 하나님의 어린 양, 즉 유월절 희생양으로 나타내려는 요한의 의도라고 본다. 요한은 예수님의 공생애 활동을 유대인의 명절들, 특히 유월절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특히 수난 이야기에서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을 유월절 당일로 해석하고 있는 공관복음과는 달리 요한복음이 유월절 전 날, 곧 유월절 어린 양을 잡던 날에 예수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었다는 것도 바로 예수의 죽음을 유월절 어린양의 죽음과 연관시키려는 의도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구약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유월절에 어린양을 잡아먹을 때에 그 다리를 꺾지 않았고 그것은 유월절의 명백한 규정이었다 (민9:11-12). 요한이 예수님의 죽음과 관련해서 예수님의 다리도 꺾여지지 않았음을(33, 36), 그리고 그것이 성경의 말씀을 이룬 것임을 강조하는 이유는 바로 예수님께서 유월절의 참된 어린양임을 증거 하기 위한 것이었다.
 요한복음에서만 예수께서 십자가를 빌라도의 법정으로부터 골고다까지 친히 날랐다는 언급이 나오는 것도(요19:17) 이것과 무관하지 않다. 요한은 예수께서 직접 십자가를 날랐다고 말함으로써 이삭 모형론(the typology of Isaac)을 소개하고 있는데, 고대 유대교 사상에서는 이미 이삭의 제사와 유월절 어린양의 제사간에 밀접한 연관성이 맺어져 있었기 때문이다. 요한은 이 본문을 통해 예수님께서 유월절의 어린양이심을 증거하고 아울러 유월절의 어린양처럼 예수님의 죽음도 믿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출애굽에 착수하고 있고, 출애굽 때의 유월절 어린양이 이스라엘 백성들을 그들의 죽음으로부터 구원했듯이 이제 참된 하나님의 어린양인 예수님은 그를 믿는 모든 자들을 죄와 죽음으로부터 구원하신다는 것을 증거 하려고 하였다.

 지금까지의 “피와 물이 흘러내린 사건”에 대한 해석을 살펴보았다. 이 모든 해석은 각각 일면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가장 중요한 면을 간과하였다. 물론 이 “피와 물” 이야기는 꾸며낸 이야기(fiction)가 아닌 실제로 역사 가운데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기록이다(nonfiction). 렌스키는 요한은 단지 그 창으로 찔린 효과에 관해서 언급하고 있다고 보고, 단지 창으로 찌른 것이 사실이요, 그래서 피와 물이 나오고 그리하여 요한의 마음속에 예수가 확실히 죽었다는 사실(fact)이 분명해졌다는 것뿐이라고 하였다.  L. 모리스(Leon Morris)는 예수님의 옆구리(πλευρα; side)에서 물과 피(αἷμα και ὓδωρ)가 나온 것의 중요성은 분명하지 않지만 다음 절의 관점에서 볼 때 요한이 독자가 이것을 실제로 일어난 것의 기록으로 볼 것을 원했다고 간파하였다. 즉 사건(event)을 기록한 것이라는 것이다. 요한복음은 다음 절에 “이를 본 자가 증거 하였으니 그 증거가 참이라 저가 자기의 말하는 것이 참인 줄 알고 너희로 믿게 하려 함이니라”고 하였다. 이 물과 피가 나온 기사는 목격자(ὁ ἑωρακῴς; eye-witness)가 증거한 사실의 기록인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해석자들은 “왜, 이 사건이 요한복음에 기록되었는가?”라는 원초적 질문을 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다른 복음서에서는 침묵하고 있는 이 사건을 왜 요한 만 기록하였는가에 대해서는 질문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간과는 지금까지의 해석자들이 13장의 최후의 만찬 이야기와 19장의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피와 물이 나온 수난 이야기의 관계에 주목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나오는 피와 물”을 본 요한의 체험에 대한 증언의 의미는 13장의 최후 만찬에서의 요한의 예수님의 품에 대한 체험과 연결 지을 때 비로소 올바른 의미를 갖는다. 이 두 사건은 복음서 기자들 중 오직 요한 만 기록한 것이고, 이 두 기사에는 유사한 중심 단어인 ‘품’과 ‘옆구리’가 각각 나타난다는 것에도 주목해야 한다.
 19장에서는 ‘옆구리’라고 기록하고 있으나 신체 부위 상으로 볼 때 심장과 가까운 부위이므로 전체적으로 ‘품’이라고 부를 수 있다. 품(bosom)은 두 팔 사이의(between arms) 그리고 대체적으로 손이 놓여지는 벨트의 윗 부분의 몸통을 가리킨다. 그런데 예수님의 육체적 죽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은 창에 찔린 옆구리 부분이 복부의 옆구리가 아닌 폐와 심장을 갈비뼈가 감싸고 있는 윗부분이었음을 말하고 있다.  NIV도 1:18b를 “who is at the Father's side"라고 번역하였다. 즉 ‘품’(bosom)과 ‘옆구리’(side)를 같은 의미로 번역한 것이다.
 요한은 예수님의 “사랑 받는 제자”로서 최후의 만찬석에서 예수님의 가슴에, 예수님의 심장에 기대어 식사를 하며, 듣기도하고, 묻기도 하였다. 복음서 기자들 중에 예수님의 품(옆구리를 포함한)에 대한 접촉 경험을 한 사람은 오직 애제자 요한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그가 십자가 밑에 있었을 때 자기가 머리를 묻었던 경험이 있는 예수님의 품(또는 옆구리)이 로마군병의 창에 의해 찔려지는 것을 목격했고, 그 곳에서 피와 물이 나오는 것을 보았을 때 다른 사람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큰 충격을 받았다. 오직 요한 복음만 예수님의 품에 대한 경험이 있었고, 따라서 그 품에 관심이 있었고, 그래서 그 품에 대한 자기 체험을 기록으로 증거 하였다. 요한의 ‘예수님의 품(가슴, 옆구리)에 대한 체험’이 요한 복음만 유일하게 “피와 물” 사건을 기록한 원초적 동기(primary motif)이다.
 이러한 원초적 동기보다 더 중요한 것은 ‘예수님의 품 체험’(the experience of the bosom of Jesus)을 통하여 요한의 몸과 마음이 느낀 것이다. 요한은 최후만찬석에서 예수님의 품에 기대었을 때 ‘예수님의 사랑’을 느꼈다. 그는 기록된 대로 예수님의 사랑을 받는 제자였다. 그는 예수님의 사랑을 받는 제자이기에 예수님의 품에 안길 수 있었고, 예수님의 품에 안겨서 그는 예수님의 사랑을 몸과 마음으로 느꼈다. 요한은 사랑하여 품을 개방하는 것과, 품안에서 사랑을 받는다는 것을 몸으로 체득하고 마음 깊숙이 체험하였다. 이런 요한이었기 때문에 예수님의 품이 창에 의해 찢겨지고 “피와 물”이 나오는 것을 보았을 때 그의 마음에 엄청난 아픔과 충격이 깊숙이 아로새겨졌음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 체험 후 요한은 그 사건에 대한 의미를 생각하였을 것이다. 그가 이 사건의 의미(the meaning of the event)를 생각하는 데 있어서 먼저 고려한 것은 “사랑”이다. 기록들에 나타난 대로 예수님은 요한을 사랑하셔서(beloved) 최후의 만찬석에서 요한을 자기의 품에 두셨으며, 요한은 그 사랑을 느끼고,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자기의 품(가슴, 옆구리)을 찢도록 허락하셔서 자기의 피와 물을 흘리신 것은 요한을 사랑하시기 때문이었다. 그 사랑을 요한은 그 후 어느 때, 마음에 새겨진 피와 물에 대한 체험을 통해 느끼고 알 수 있었다. 예수님께서 자기의 품이 찢겨지도록 허락하시고 피와 물을 쏟으신 사건에 베어 있는 이 “사랑의 동기”(Love motif)에 대해 지금까지의 해석자들은 아주 무지했었다. 예수님은 요한을 사랑하시기에 성전 되시는 자기 품을 찢어 유월절 어린양으로서 피를 쏟아 주셨고, 그 사랑의 피에 의해 요한은 죄를 용서받고 구원을 얻게 된 것이다.
 요한은 19:37에서 예수님의 품(옆구리)이 창에 찔리신 것은 슥12:10이 성취된 것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바렡은 예언서로부터 온 이 문구는 분명 요한복음 기자가 이 품이 창으로 찔린 사건이 하나님의 뜻에 관계되어 있었다는 확신을 가지게 한 것이었다고 주장하였다. 예수님께서 자기의 품을 찢으신 것은 하나님 아버지의 뜻에 의한 것이었다. 하나님 아버지께서 독생자의 품을 찢도록 내어 주신 것은 아버지의 세상에 대한 사랑 때문이었다. 요한은 아버지의 사랑의 동기를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요3:16)라는 말속에서 드러내고 있다. 이 사랑의 동기에 의해 아버지는 독생자를 내어 주셨고, 독생자는 자기 품을 찢어 세상의 죄를 위해 그의 피와 물을 쏟으신 것이다. 그런데 창에 찔리신 것은 아들이셨지만 곧 그것은 하나님의 찔리심이었다. 요한은 “Ὄψονται εἰς ὅν ἐξεκεντησαν”(they shall look on whom they pierced)라고 인용하고 있지만 마소라본문은 슥12:10의 해당 본문을 “וּר??־ר?? ת? י?? וּטי???” (and they shall look upon me whom have pierced)라 쓰고 있다. 마소라 본문에서 말하시는 분(the speaker)은 하나님이시다. 그리고 찔리신 분(pierced one)도 하나님이시다. 요한은 하나님께서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셨다고 한다. 하나님께서는 자기 자신의 품을 찔려 여시고(open), 피와 물을 쏟으셔서 세상을 사랑하셨다.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은 요한이 인용하지 않은 슥 12:10의 후반부이다.

 

     די???־ל?  ד????  וי??  וּד???   
 ׃  רוֹכ??־ל?   ר???   וי??  ר???
 and they  shall mourn        as one mourneth            for the only son
 and they shall be in bitterness as one that is in bitterness for the firstborn.


 이 후반부는 찌른 자들이 찔린 자에 대해 슬퍼하는 장면을 동의 평행법을 통해 묘사하였다. 여기서 필자가 지적하고 싶은 부분은 바로 슬픔의 정도에 대한 비교 대상에 대한 언급이다. 스가랴는 전반부에서 찌른 자들이 ‘하야히드’(די???)를 위해 애통 것처럼 애통할 것이라고 하였으며, 후반부에서는 ‘하베코르’(רוֹכ??)를 위해 통곡하듯 통곡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LXX는 ‘하야히드’(די???)를 ‘아가페토스’(ἀγαπητος)로, ‘하베코르’(רוֹכ??)를 ‘프로토토코스’(πρωτοτοκος)로 번역하였다. LXX는 די??를 요1:8절의 주석에서처럼 또한 μονογενὴς로도 번역하였다. 불가타(Vulgate) 역은 ‘유니게니툼’(unigenitum)으로 번역하였다. 이 단어에 대해 영어의 대부분의 번역은-μονογενὴς를 불가타의 unigenitus를 따라 only-begotten이라고 번역한 KJV도- LXX를 따르지 않고 ‘his only son'(KJV), ’an only son'(JB), 'an only child'(NIV, NRSV) 등으로 번역하였다. 이 번역들을 따른다면 스가랴는 μονογενὴς와 πρωτοτοκος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MT(마소라본문)에는 두 단어에 모두 정관사 ‘하’(?)가 붙어있으나 LXX에서는 정관사를 누락시켰다. 그리고 대부분의 영어번역들에서도 LXX처럼 정관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MT를 따라 번역한다면 ‘the only son' 또는 ’the only child'라고 번역하여야 한다. 스가랴는 ‘그들의 유일한 아들들을 위해 애통하듯’, 또는 ‘그들의 장자들을 위해 통곡하듯’이라고 말하지 않고, 단수를 의미하는 정관사를 사용하여 ‘그 유일한 아들을 위해 애통하듯’, ‘그 장자를 위해 통곡하듯’이라고 말하였다. MT와 LXX를 종합하여 본다면, 그 아들은 ’그 유일한 아들‘ (the only son)이며, ’그 사랑 받는'(the beloved) 아들이며, '그 장자‘ (the firstborn son)이다. 그렇다면 그 유일한 아들은 누구의 아들을 지칭하는가? 대부분의 번역들은 그 아들을 부정관사를 사용하여 한정하지 않았다. 즉 해석을 유보한 것이다. 그런데 KJV은 ‘his'라는 말을 사용하므로서 그 아들이 ’우는 사람의 아들‘이라고 해석하였다(as one mourneth for his only son). 그러나 MT본문에는 이러한 해석들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그저 어떤 아들도 아니고, 우는 그 사람의 아들도 아니고, ‘그 유일한 아들’(μονογενὴς)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그 유일한 아들’은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유일한 아들을 지칭할 가능성도 있다.

 

D. 20:20, 25, 27


  1. 20:20


    1). 본문: 


         καὶ τούτο εἱπὼν ἔδειξεν τὰς χείρας καὶ τὴν πλευρὰν αὐτοίς.


    2). 사역: 


         그리고 이것을 말씀하시면서 그의 손과 옆구리를 보이셨다.


    3). 주석


 요한은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손과 옆구리를 보이셨다”고 기록한다. 바렡은 이 기사에 발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을 주목한다. 누가복음의 평행기사에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나의 손을 보고, 나의 발을 보라” (눅24:39)고 말씀하신다. 많은 사람들이 요한이19:34의 그의 옆구리 상처 기술과 조화시키기 위해 “발”을 “옆구리”로 바꾸었다고 생각하였다. 반면에 베노이트(Benoit)는 누가가 바꾸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하트만(Hartmann)은 원래는 단지 손만을 언급하셨는데 누가와 요한은 둘 다 하나씩을 더하여 발전시켰다고 하였으며, 이 발전은 가공한 것일 필요는 없다고 하였다.
 이들의 주장들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이다. 요한과 누가의 기록은 각각의 독립성을 가지고 있으며 누가 누구 것을 바꾸었거나, 둘 다 하나에 더 하나를 후에 첨가하여 발전시킨 것도 아니다. 그보다는 누가는 자기의 관심에 따라 한 사건에서 “손과 발”을 기록한 것이며, 요한은 또한 자기의 관심에 따라 동일한 사건에서 “손과 옆구리”를 기록한 것이다. 모리스(Leon Morris)는 이 절의 “και . . . και”에 주목하고, 이 절을 “both his hands and his side"라고 해석하였다. 그리고 요한이 여기에(και . . . και의 사용) 어떤 강조점을 두고있다고 보았다. 반면에 시편 12:17은 “그들이 나의 손과 발을 찔렀나이다”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이것은 누가의 기록과 일치한다. 즉 누가는 예수님의 손과 발 찔리심이 시편의 말씀을 성취한 것으로 보았을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누가와 요한은 한 사건을 자기들의 관심에 따라 취사선택하여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취사 선택에 대해 역사성이 없다고 할 수도 없으며, 가공한 것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이 본문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도 지금까지의 해석자들은 요한의 예수님의 품(옆구리)에 대한 체험에 의한 원초적 동기에 대해 무관심하였다. 그래서 이 본문을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였다. 지금까지 학자들은 요한복음에 “옆구리”라는 단어가 반복된다는 것에 주목하지 못했으며, 더 나아가 그 반복의 동기에 대해 질문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한 반복은 반드시 주목되어야 하며, 그 반복의 동기가 연구되어야 한다. 예수님의 품을 경험하였던 요한은 예수님의 품에 유달리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옆구리”를 말한 것이다. 요한은 19:35절에서 예수님의 옆구리가 찔리신 것은 슥12:10이 성취된 것으로 보았다. 버나드(J. H. Bernard)는 주님의 옆구리의 찌름에 관해 언급하는 기자가 요한밖에 없으므로 (19:34) 누가복음서의 부활기사에 ‘옆구리’ (τὴν πλευρν)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하였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신 후 제자들에게 나타나셔서 손과 발과 옆구리를 보이셨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예수님의 수난의 상처들을 보는 순간 요한의 눈은 십자가 밑에서 체험한 로마군병에 의해 찔리고 피와 물을 쏟은 예수님의 옆구리(품)에 고정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뇌리에는 ‘발’보다는 “옆구리”가 더욱 깊숙이 각인 되었을 것이다.
 예수님의 상처의 보여주심은 제자들로 하여금 그들 앞에 계시는 분이 바로 그들의 못 박히셨던 주님이시라는 것을 깨닫게 하였다. 못 박히셨던 분은 부활하신 주님이시며, 부활하신 주님은 못 박히셨던 분이시다 (the Crucified is the risen Lord, and the risen Lord is the Crucified).


  2. 20:25, 27


    1). 본문:


 25 ἔλεγον οὖν αὐτῷ οἱ ἄλλοι μαθηταί, Ἑωράκαμεν τὸν κύριον. ὁ δὲ ἐἶπεν
αὐτοίς, Ἐὰν μὴ ἴδω ἐν ταίς χερσὶν αὐτού τὸν τύπον τών ἥλων καὶ βάλω τὸν
δάκτυλόν μου εἰς τὸν  τύπον τών ἥλων καὶ βάλω τὴν χείρα εἰς τὴν πλευρὰν
αὐτού, οὐ μὴ πιστεύσω
 27 εἶτα λέγει τῷ Θωμᾳ, Φέρε τὸν δάκτυλόν σου ὧδε, καὶ ἴδε τὰς χείράς μου,     καὶ φερε τὴν χείρα σου καὶ βάλε εἰς τὴν πλευραν μου, καὶ μὴ γίνου
 ἄπιστος ἀλλὰ πιστός.


   2). 사역:


  25 그러므로 다른 제자들이 그에게 “우리가 주님을 보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그들에게 “내가 그분의 두 손에 난 못들의 자국을 보지 않으면, 그 못들     의 자국에 내 손가락들 집어넣어 보지 않으면, 그리고 내 손을 그의 옆구리에     넣어보지 않으면, 나는 믿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27 그리고 그분이 도마에게 “너의 손을 여기에 가져오라, 그리고 나의 손들을     보아라, 그리고 너의 손을 가져와 내 옆구리에 집어넣어 보라, 그래서 믿지
 못하는 자가 되지 말고, 믿는 자가 되라!”고 말씀하신다


    3). 주석


 이 본문에서도 역시 지금까지의 해석자들은 요한의 원초적 동기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요한은 도마가 “내 손가락을 그 분의 두 손에 난 못자국에 넣으며, 내 손을 그 분의 옆구리에 넣어 보지 않으면, 믿지 못하겠다!”고 말하였다고 기록한다. 즉 요한은 이 장면에서도 도마의 말을 빌어 그가 관심이 있던 “옆구리”를 드러낸다. 요한은 도마의 말을 통해 예수님의 두 손에 난 못자국은 손가락 하나를 집어넣을 만한 상처였지만, 예수님의 옆구리에 창으로 인해 난 상처는 손을 집어넣을 수 있을 정도로 뻥 뚫려 있는 상처였음을 증언하였다.
 여드레 후에 예수님께서는 도마도 함께 한 제자들에게 나타나신다. 이 기사에서도 여전히 요한은 원초적 동기를 드러낸다. 요한은 예수님의 “네 손을 내밀어 내 옆구리에 넣어보라”는 말씀에 주의를 기울인다. 
 요한은 도마에게 말씀하시는 예수님의 말씀을 단순과거(aeorist) 시제를 사용하여 “ἔλεγον τῷ Θωμᾳ”라고 표현하지 않고 현재 시제를 사용하여 “λέγει τῷ Θωμᾳ” (그분이 도마에게 말씀하신다)이라고 표현하였다. 헬라어에서 현재시제는 현재의 동작을 지칭하는 시간적인 개념보다는 과거든 현재든 상태나 동작이 끝나지 않고 계속된다는 개념(직선적 또는 계속적 행동; linear or continuing action)을 내포하고 있다. 요한이 이렇게 예수님의 말씀을 과거시제로 증언하지 않고 계속적인 행동을 표현하는 현재 시제로 증언한 것은 요한의 시대 뿐만 아니라 시간을 초월하여 언제, 어느 때든 예수님의 부활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예수님의 그 말씀에 귀를 기울여서 믿는 자가 되라고 말하고 싶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즉 요한에게있어서 예수님께서는 도마와 같이 그 분의 부활을 의심하는 사람들에게 지금도, 언제나 “믿는 자가 되라”고 말씀하고 계신다.
예수님의 옆구리의 창자국 앞에서 도마는 외친다, “나의 주시며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 (Ὁ κύριός μου καὶ ὁ θεος μου; 28절). κύριός와 θεος의 병렬은 70인역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거기서 이 두 칭호의 병치는 ‘야웨 엘로힘’(מיהלא הוהי) 및 이와 유사한 표현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병치는 보다 못한 용어에 보다 좋은 용어를 더하려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강한 반복의 방법으로 도마의 고백을 나타낸다.  ‘주’와 ‘하나님’에 대한 도마의 고백은 필로(Philo)의 로고스론을 상기시킨다. 필로는 하나님의 두 권능(two powers of God)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였다. 필로는 그 권능을 자주 하나님의 “창조적 권능”(creative power)과 “질서적 또는 다스리는 권능”(ordering or ruling power)으로 성격 지었다. 그는 출 25:22을 주석 하면서 언약궤를 묘사하였는데 그 묘사에서 두 그릅 천사(cherubim)들을 하나님의 두 권능들과 동일시하였으며, 그 두 권능 가운데 로고스(the Logos)가 있다고 하였다. 그는 다음과 같이 하나님의 두 권능을 말하였다.

  샘으로부터 나오듯, 신적 로고스로부터 두 권능이 나누어져 나온다. 하나는       그것으로 그 장인(the Artificer)이 만물들을 제자리에 놓으셨고, 질서정연하게      하셨던 “창조적 힘”(creative power)이신 데 그 이름은 ‘하나님’이시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것을 통해 그 창조주(the Creator)께서 피조된 것들을 다스리      시는 “왕권적 권능”(royal power)이신 데 그 이름은 ‘주님’(the Lord)이시다”      (Quaest. in Ex. 2.68; Fug. 95-98, 100-101).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M. 톰슨(M. M. Thomson)은 요한복음에서 로고스(the Logos)는 창조의 대행자(the agent of creation)이며 (1:3), 성육신하신 로고스(incarnate Logos)는 하나님의 심판의 대행자로 나타나시기 때문에 로고스는 ‘주’(κυριος)와 ‘하나님’(θεος)으로 고백된다고 주장하였다. 톰슨의 주장은 어떤 면에서 받아들일 만한 것이지만, 다른 면에서 좀더 고려해야할 사항이 있다. 그것은 톰슨의 주장대로 과연 도마는 요한복음의 이 본문에서 예수님을 하나님의 두 권능의 대행자로서 만으로, 단지 기능적으로 그러한 권능이 주어진 존재로 고백하였겠는가 하는 것이다. 사실 이 고백을 한 도마나 그리고 이 고백을 목격하고, 듣고, 기록한 요한이나 예수님을 단순한 하나님의 대행자로서 고백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행자일 뿐만 아니라 그 대행자가 곧 하나님이시라는 고백으로 나아간 것이었다. 그래서 요한은 그의 서문 첫머리에서 로고스는 곧 하나님이셨다고 단정적으로 선언한 것이다.
 여기서 관사 있는 주격은 호격 대신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면 막14:36). 요한은 도마의 외침과 자기 마음의 깊은 체험이 함께 공명하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요한은 도마의 예수님의 옆구리 체험의 기록을 통해 예수님은 하나님이시라고 외친다. W. 헨드릭슨(W. Hendrikson)은 도마의 이 고백은 “도마의 조금 전의 경험에 비추어 이해되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도마의 예수님 옆구리 체험 후 예수님의 신성에 대한 고백은 요한복음의 절정이며 동시에 "그 말씀은 하나님이셨다”(1;1)고 선언한 서문을 형성하는 밑바탕이 된다.

 

E. 21:20


 1. 본문:


    Ἐπιστραφεὶς ὁ Πέτρος βλέπει τὸν μαθητὴν ὅν ἠγάπα ὁ Ἰησούς            ἀκολουθούντα, ὅς καὶ ἀνέπεσεν ἐν τῷ δείπνῳ ἐπὶ τὸ στηθος αὐτού
    καὶ εἶπεν  Κύριε, τὶς ἐστιν ὁ παραδιδούς σε;


 2. 사역:


    돌아서서 베드로는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그 제자, 따르던,
    그리고 그 만찬에서 그 분의 가슴에 기대어
    “주님 당신을 넘겨줄 자가 누구입니까?”라고 말했던 그 제자를 본다


 3. 주석


 Beasley-Murray는 예수의 사랑하시는 제자가 계시에 있어서 아버지에 대한 예수님의 관계(1:18)처럼 예수님과 가장 가까운 관계에 있었다는 13:23의 기록을 회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는 두 본문들 속에 있는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 차이점은 ‘품’이라는 단어의 차이점이다.

       13:23   ἐν   τῷ   κόλπῳ    τού Ἰησού
       21:20   ἐπὶ  τὸ   στηθος   αὐτού
 13:24에서는 “예수의 품”이라고 하였고 21:20에서는 같은 장면에 대한 묘사를 “그의 가슴”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즉 요한은 그가 최후 만찬석에서 기대었던 예수님의 품이 바로 예수님의 가슴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만찬석에서 예수님의 가슴에 기대어 요한은 예수님의 따뜻함을 느꼈고 30대 초반 젊은이의 힘찬 심장박동 소리를 귀로 들을 수 있었을 것이고, 또 몸으로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이 가슴속에 담겨져 박동 치던 심장이 로마군병의 창에 찢겨졌던 것이다.
 제 4복음서는 이 예수의 사랑하시는 제자가 이 것에 관하여 증거한 증거자(ὁ μαθητὴ ὁ μαρτυρών περὶ τούτων)요, 또한 이 것을 기록한 기록자(ὁ γράψας ταὺτα)라고 기록하였다 (요21:24).

 

 

V. 종합적 해석


 지금까지 요한복음의 전승적 독립성과 사도 요한의 저작성을 살펴보고,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에 관련된 문구들을(‘품’, ‘옆구리’, ‘가슴’이 나타나는 문구들) 주석하였다. 본 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요한이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을 산출하게된 과정을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려 한다.

 

 A. 기록의 원초적 동기 - 예수님의 품 체험- 사랑


  요한복음 1:18에 나타난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은 13:23, 25의 최후의 만찬에서의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의 예수님 품 체험에서 풀어 나가야 한다. 예수님께서 사랑하시는 제자는 바로 사도 요한 이었다. 서문의 몇 부분이 본문보다 먼저 형성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요한복음의 전체적인 기록은 서문부터 후기까지 한꺼번에 써내려 간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기록 이전에 사도 요한의 예수 만남의 경험 속에서 형성된 요한의 예수님에 대한 인식은 순서가 있을 수 있다. 1:18은 1차 경험에 근거한 2차 경험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 1차 경험은 최후의 만찬에서의 예수님의 품에 대한 경험이며, 2차 경험은 1차 경험과 더불어 그 밖의 요한의 여러 예수님에 대한 체험들이 어우러져 형성된 것이다.
 사도요한은 예수님과 그의 제자들로 한정된(막 14:17이 언급하는 대로 12사도로 한정되었을 것이다) 마지막 유월절 식사를 하고 있었다. 그 유월절 식사에서 사도요한은 예수님의 사랑을 받는 제자로서 예수님의 오른쪽에 비스듬히 누워서 그의 머리를 예수님의 품에 묻고 있었다. 사도요한은 베드로와 빌립과 함께 열두 제자들 중 베드로와 야고보와 함께 “핵심 그룹”(inner group)을 형성하였다. 예수님께서는 몇 번의 중요한 일들이 있었을 때 다른 사도들은 다른 장소에 머물게 하시고 오직 세 사도들과 동행하셨다. 그 세 제자들 중에서도 요한은 예수님의 특별한 사랑을 받았을 것이다. 그래서 아마도 요한은 중요한 식사 때마다 그처럼 예수님의 품에 머리를 묻고 식사를 하였을 것이다. 요한은 이 식사장면 한 번의 묘사로 그가 그 이전에 예수님과 식사할 때마다 어떤 식사를 하였는가까지를 모두 보여주고 있다. 요한은 식사할 때마다 생동하는 30대 초반의 젊은이의 가슴을 몸으로 체험한 것이다. 그리고 그 가슴속에서 박동 치고 있는 심장은 소리로 요한의 귀에 들려졌고, 건강하고 힘찬 움직임으로 요한의 몸에 느껴졌다. 요한의 이러한 예수님 품 체험은 요한의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을 형성하는 1차 경험이 되었다.
 요한은 골고다 언덕에서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을 목격하였다. 그는 예수님으로부터 예수님의 어머님을 돌보아 줄 것을 부탁 받았다. 그 후 아리마대 요셉의 요청으로 로마군병에 의해 예수님의 시신이 십자가에서 내려지고 아리마대 요셉이 준비했던 무덤에 장사지내진다. 그런데 로마군병에의해 예수님의 시신이 취급될 때 요한은 참으로 충격적인 장면을 목격하였다. 한 로마병사가 자기가 식사때마다 기대었던 예수님의 품(옆구리)을 창으로 찌르는 장면이었다. 로마군병이 창으로 자기를 사랑하시던 예수님의 품을 찌르자 그 상처로부터 “피와 물”이 흘러나왔다. 이 장면의 기록에서 요한이 밝혔듯 이 장면은 “목격자”의 참된 증언이다. 요한이 자기를 사랑하시던 예수님의 품이 창에 찔리고, 그 찔린 상처에서 피와 물이 흘러나온 것을 목격한 경험은 식사때마다 따뜻하고 힘찬 품에 기대었던 경험과 함께 요한의 가슴에 깊은 골을 내었다. 요한은 그 충격적인 장면의 목격과 함께 자기를 사랑하시던 예수님의 진정한 죽음을 목격하였다.
 제자들과 함께 다락방에 숨어 있던 요한은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난다. 그런데 이 부활하신 예수님은 요한에 의하면 손과 옆구리에 상처가 있는 예수님이시다. 요한에게는 예수님의 상처난 손도 그리고 발도 중요하였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가 식사 때 기대었던 예수님의 품에 난 창자국이었다. 요한은 “손”이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는 그 이후의 말씀은 별로 귀에 들어오지 않고 눈은 오직 예수님의 품(옆구리)으로 향한다. 그리고 “옆구리”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지금 눈에 보이는 예수님의 상처난 옆구리와 자기의 식사때의 예수님 품에 대한 체험, 골고다 언덕에서의 예수님의 품이 창에 찔리고 그곳에서 피와 물이 쏟아지는 것을 목격한 경험이 함께 뒤섞여 요한의 귀와 마음을 두드린다. 예수님의 진정한 죽음을 목격한 요한은 지금 예수님의 진정한 부활을 목격한다. 죽으셨던 그 분이 바로 부활하신 분이시라는 것을 경험한다.
 그 자리에 없었던 도마는 동료들의 증언에도 불구하고 자기가 직접 경험해 보지 않고서는 그 증언을 믿을 수 없다고 말한다. 도마는 예수님의 옆구리에 난 상처에 손을 넣어 보지 않고서는 예수님의 부활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얼마 후 예수님은 제자들과 함께 있는 도마에게 나타나신다. 예수님은 도마에게 자기의 옆구리에 손을 넣어 보라고 요청하신다. 이 때 요한은 도마의 반응에서 엄청난 고백을 듣는다. 도마는 창으로 찔린 상처가 있는 옆구리를 내어 보이시는 예수님 앞에서 예수님을 향해 “나의 주, 나의 하나님!”이라고 외친다. 그 고백을 들은 예수님께서는 그 고백의 내용에 대해 수정하지 않으신다. 도마의 고백이 옳다는 것이다. 다만 도마가 제자들의 증언만을 듣고 믿지 못하였음을 꾸짖으신다. 예수님은 도마의 입을 빌어 스스로 하나님이심을 드러내신다.
 요한의 최후만찬 이후 예수님의 품(옆구리)에 대한 경험에는 요한의 “예수님의 품에 대한 관심”이라는 “원초적 동기”(primary motif)가 작용된 것이었다. 그리고 그 원초적 동기에 의해 요한이 느꼈던 것은 “사랑”이라는 것이었다. 요한은 이러한 일련의 경험들을 통해 자기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이 하나님이시며, 하나님이신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그 품이 창에 찔려 피와 물을 쏟으셨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경험에 한가지 중요한 경험을 더한다면 공관복음에 나타나는 변화산에서의 경험이다. 요한은 베드로와 형제 야고보와 함께 구름 속에서 들려 오는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니”라는 하나님 아버지의 말씀을 들었다 (막9:7). 이 경험을 지금까지 살펴본 경험에 더하면 요한은 자기를 사랑하시는 예수님은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받으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더 나아가 하나님이시며,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받으시는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시고, 그 품을 창에 찔려 피와 물을 쏟으시도록 하셨다는 것을 경험한 것이다.
 요한은 후에 예수님께서 흘리신 피가 어떤 일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우리를 모든 죄에서 깨끗케”하시는 것이다 (요일 1:7). 이렇게 하심은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시기 때문이다. 요한은 “하나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이렇게 나타난 바 되었으니 하나님이 자기의 독생자를 세상에 보내심은 저로 말미암아 우리를 살리려 하심이니라 사랑은 여기 있으니 오직 하나님이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위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음이니라”고 기록하며 하나님께서 우리를 사랑하사 우리 죄를 깨끗하게 하시기 위하여 화목제로 그 아들을 보내셨다고 말한다 (요일 4:9-10).
 그런데 요한은 어떻게 자기의 예수님에 대한 경험에서 이러한 신학을 펼쳐 낼 수 있었는가? 요한은 자기가 어떻게 자기의 경험을 신학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는가를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요한은 성령의 증거 (요일5:7), 곧 하나님의 증거 (요일5:9)가 자기의 경험을 신학으로 발전시킨 원동력임을 간접적으로 밝혔다. 그 원동력은 예수님께서 이미 마지막 강화에서 밝히신 것이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시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시리라”고 말씀하셨다 (요14:26). 요한은 마가의 다락방에서의 성령 강림 체험 이후 자기의 예수님에 대한 경험이 성령의 증거와 가르치심에 의해 하나 둘 씩 의미를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요한은 “증거하는 이가 셋이니 성령과 물과 피라 또한 이 셋이 합하여 하나이다”라고 기록하였다 (요일5:8). 요한의 예수님의 찢긴 품에서 나온 물과 피에 대한 경험은 성령의 증거하심에 의해 그 의미를 갖게 된 것이었다.


 B. 서론의 기록 - 아버지 품 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자기 품을 열어 사랑하는 아들을 내어 주신 하나님-


 이제 요한은 1:18을 기록할 수 있는 준비를 거의 다하였다. 예수님은 변화산에서 하나님 아버지께서 말씀하신 대로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막9:2). 그런데 도마의 고백에서 예수님 자신도 인정하신 것처럼 예수님은 또한 하나님이시다. 이러한 인식은 이미 그의 경험에서부터 직접적으로 온 것이다. 이제 이 경험은 성령의 인도하심에 의해 신학으로 인도된다. 그는 서문에서 하나님의 아들은 로고스로서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그분이 곧 하나님이시라고 밝힌다. 그리고 그 로고스가 육신이 되어 사람 가운데 거하셨다고 예수님의 생애를 해석한다. 또한 서문의 마지막 부분에서 요한은 일찌기 하나님을 본 사람은 없지만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내셨다고 기록하기에 이른다. 요한은 예수님이 “독생하신 하나님”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이시라고 밝힌다. 요한은 예수님의 이 신비를 자기 스스로 고안해 낸 것이 아니요, 예수님의 품에 관련된 체험(골고다 언덕에서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나온 피와 물, 그리고 부활하신 예수님의 옆구리의 상처를 본 도마의 고백)을 통해 인식한 것이었다. 이 ‘독생하신 하나님’께서 하나님을 나타내셨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나타내셨다는 사상 또한 요한이 스스로 꾸며낸 것이 아니다. 요한은 마지막 강화에서 예수님과 빌립 사이의 대화를 기억한다. “주여 아버지를 우리에게 보여 주옵소서 그리하면 족하겠나이다”라는 빌립의 요청에 예수님께서는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 어찌하여 아버지를 보이라 하느냐”라고 대답하셨다 (요14:9). 요한에게 예수님은 하나님을 나타내신 “독생하신 하나님”이시다. 요한이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나타내신 것으로 하자는 신학적 동기를 먼저 가지고 예수님의 말씀을 꾸며낸 것이 아니라, “나를 본 자는 아버지를 보았거늘...”이라는 예수님의 말씀 듣는 체험이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나타내셨다는 요한의 서론의 신학적 진술을 형성시킨 것이었다.
 그런데 1:18에서 중요한 것은 요한이 “독생하신 하나님”이 “아버지 품”속에 계시는 것을 어떻게 알았느냐는 것이며, 그리고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요한은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사랑하시는 아들” (God's beloved Son)이시라는 것을 변화산의 하나님 아버지의 소리 경험(the experience of the voice of Father)에서 알았다. 요한은 성령의 인도하심 따라 하나님 아버지께서 사랑하시는 아들을 어디에 두시겠는가를 생각한다. 이때 요한은 자기를 사랑하시는 예수님께서 자기를 예수님의 품속에 두셨던 것을 기억한다. 그리고 하나의 결론에 도달한다. 예수님께서 사랑하는 자를 자기 품속에 두셨 듯, 하나님 아버지께서도 사랑하시는 아들을 품속에 두신다는 것이다. 이 결론은 요한이 꾸며낸 허구(fiction)가 아니다. 또한 이 결론은 꾸며낸 이야기를 통해 영적 진리(spiritual truth)를 드러내려 하는 것도 아니다. 이 결론은 요한의 예수님의 품 체험과, 예수님에 대한 소리 들음의 체험을 바탕으로 ‘영적 사실’(spiritual fact)을 드러내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품속에 계시다는 것은 신인동형론적 은유(anthropomorphic analogue)도 아니며, 신화적 표현이므로 비신화해야 할 것도 아니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품속에 계시다는 것은 영적 사실을 말하는 것이다. 요한은 자기의 예수님의 품 경험과 성령의 인도하심에 의해 예수님께서 하나님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다는 영적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예수님께서 “아버지의 품 속”에 계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 것은 단순히 존재론적인 또는 장소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 의미는 위에서도 드러났듯 하나님 아버지께서 아들을 사랑하신다는 것이다.
 이 하나님께서 아들을 사랑하셔서 품속에 두신다는 영적 사실은 “하나님을 나타내셨다”는 사실을 더욱 의미 있게 한다. 이 의미는 칼빈(J. Calvin)이 간파한대로 아버지의 품속에 계신 독생하신 하나님이 나타나셨다는 것은 우리에게 복음 안에서 하나님의 품이 활짝 열려 공개된 것이다 (the breast of God laid open to us in the Gospel). 다시 말하면 하나님 아버지께서 세상을 사랑하사 자기의 품을 활짝 열어 그 품속에 두시는 아들을 내어 주셨다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세상을 사랑하사 자기의 품을 열어 아들을 내어 주셨다는 것은 육체가 되어 오신 로고스께서 세상을 사랑하사 자기의 품을 열어 피와 물을 쏟아 주셨다는 것과 맥을 같이한다. 하나님 아버지는 자기의 품을 열어 아들을 세상에 내어 주셨고, 아들은 자기의 품을 열어 피 곧 생명을 세상에 주셨다. 이것은 영적 사실이다.
 아들-바울의 용어로 한다면 “마지막 아담”-이 자기의 품(옆구리)을 열어 피와 물을 쏟아 세상의 죄를 용서하고 교회를 이루게 하셨다는 사실은 하나님께서 첫 아담의 옆구리(???를 개역 성경은 ‘갈빗대’로 번역하였고, 70인역에서는 ‘옆구리’로 번역하였다; καὶ ἔλαβε μιαν τών πλευρών αὐτού. 그리고 ???는 다른 명사와 함께 쓰이며 옆구리(side)라는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ר?? ???, 법궤의 옆구리(출 25:12, 14) 등)를 열어 ‘돕는 배필’인 여자를 만든 것을 생각나게 한다. 아담의 신부인 여자가 아담의 옆구리에서 나왔듯이 그리스도의 옆구리로부터 그의 신부인 교회가 나왔다는 것은 단순히 알레고리적 해석으로 치부할 수 없는 영적 사실이다. 김득중은 초대 교회 교부들 가운데서 이러한 해석을 한 사람들이 있었음을 말하고, 이러한 해석은 알레고리적 해석이며, 본문으로부터 자자 자신의 의도를 이끌어 낸 해석 (exegesis)이 아니라 본문 안으로 해석자의 생각을 투입시킨 해석(eisegesis)이 분명함으로 이러한 해석은 올바른 해석이 아니라고 단정해 버린다. 그러나 필자는 이러한 해석이야말로 영적 사실(spiritual fact)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C. 사랑이라는 주제와 요한 문서들-하나님은 사랑이시라


  - 새 계명: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 -
  하나님 아버지는 세상을 사랑하사 자기 품을 열어 아들을 내어 주실 것을 첫 아담의 품을 열어 여자를 만들어 내심으로서 모형으로 미리 보여주셨고, 때가 차매 자기 품을 열어 실상으로 아들을 세상에 내어 주셨다. 아들은 세상을 사랑하셔서 자기 품을 열어 피와 물을 쏟아 주셔서 세상 죄를 용서하셨고, 그 죄사함 받은 사람들을 교회로 삼으셨다.
 ‘사랑’은 “요한복음에서 중요한 주제”를 이루고 있다. 이는 요한문서와 복음서에 나타나는 ‘사랑’이라는 단어의 빈도비교에서 확실하게 나타난다.


원어      책
  마  태
  마  가
  누  가
  요  한
  요  일
  아가페
  (ἀγάπη)
9
6
14
44
46
  필레오
  (φιλέω)
5
1
2
13
0
  합  계
14
7
16
57
46

 

   뿐만 아니라 요한은 신약성서 저자들 중 “하나님은 사랑이다”라고 하나님을 사랑으로 정의한 유일한 저자이다(요일4:8, 16). 그리고 요한은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모든 사람이 . . . 내 제자인 줄 알리라”(요13:35)고 사랑을 예수님의 제자된 특징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런 점들을 보면 요한은 “사랑의 사도”(the apostle of love)라고 불리워 마땅하다. 예수께서는 요한과 야고보를 보아너게, 즉 ‘우뢰의 아들’(막3:17)이라 부르셨는데, 어머니와 함께 예수께 나아와 현세적 왕국에서 최고의 지위들을 구하는(마20:20) 그들의 이기적 야심이 이같은 묘사를 입증해 주었다. 그 외에 그들은 예수를 영접하지 않은 사마리아 마을에 불이 내리기를 바랬다 (눅 9:54). 요한은 예수 이름으로 귀신을 쫓아내는 어떤 사람이 열 두 사도와 동행하기를 거절하자 그를 금하고자 하였다(막9:38). 그런 그였지만 예수님의 품체험을 통해 예수님의 사랑을 경험하여 알았으며, 하나님의 사랑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사랑으로 자신의 기질을 극복했다. 요한은 예수님의 말씀을 통해 제자들에게 주어진 새계명은 ‘사랑’이라고 전해준다(요13:34).
   보웬(R. Bowen)은 요한이 하나님의 사랑이 인간이 먼저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에 의해 조건지어지고 있고, 또 가장 큰 사랑이 친구를 위해 목숨을 버리는 사랑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사랑의 범위가 “폐쇄된 집단”에 국한되어 있다고 지적하면서 요한의 사랑의 개념을 완전히 열등하며 저급한 것으로 보았다. 보웬은 요한복음을 완전히 잘못 보았다. 이는 그가 요한의 ‘예수님의 품체험’을 보지 못하고, 요한이 그 체험을 통해 하나님께서 얼마나 세상을 사랑하셨는가를 알게 된 것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하나님의 사랑은 세상 전체를 위한 사랑이며, 세상을 사랑하시기에 사랑하시기 때문에 자기 품속에 두시는 아들을 세상을 위해 내어 주셨다는 것을 주목하지 못하였다. 요한의 사랑은 온 세상을 향해 열려 있으며, 그 사랑의 개념은 엄청난 깊이와 넓이를 가지고 있다.

 

 

VI. 결 론


 요한복음은 공관복음의 전승을 비역사화한 신화적 신학의 산물이 아니라 공관복음과는 독립된 전승을 가진 역사를 바탕으로한 신학적 활동의 산물이다.
 요한복음의 저자는 성경 외적, 내적 증거들이 말하는대로 예수님의 사랑 받는 제자였고, 그는 곧 세베대의 아들이며, 사도였던 요한이었다. 요한은 예수님의 사랑 받는 제자로서 마지막 유월절 만찬 자리에서 예수님의 품에 기대어 안겨 있었으며, 그 체험은 그 이후의 사건들에서 요한이 예수님의 품(옆구리)에 집중하는 원초적 동기(praimary motif)가 되었다. 그리고 이 원초적 동기에 의해 집중한 예수님의 품은 그에게 ‘사랑’을 경험시켰다.
 마지막 만찬에서의 예수님의 품에 대한 체험은 요한으로하여금 십자가 밑에서 예수님의 품이 창에 찔려 물과 피가 흘렀던 사건을 대하면서 받았던 충격을 더해주었으며, 그 장면을 성경에 기록하고 그 사건을 구약전승(스가랴서의 창에 찔림 전승)의 성취로 기록하게 하였다. 또한 요한의 예수님의 품 체험은 요한으로하여금 부활하신 예수님의 몸 중에서 품의 한 부분인 옆구리에 관심을 집중하게 하였다. 그리고 요한의 그 품 체험은 요한으로하여금 도마의 입을 빌어 예수님을 ‘주’요 ‘하나님’으로 고백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것을 증거하고, 기록하도록 이끌었다.
 요한의 이 예수님의 품 체험은 그를 서론에서 나타나는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독생하신 하나님 기독론”으로 이끌어 갔다. 요한은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자기의 예수님 품체험--사랑하는 자는 품에 둔다는--을 통해 하나님께서 사랑하는 아들을(변화산에서 하나님 아버지께서 직접 음성으로 사도 요한과 그 두 동료들에게 말씀하신대로) 그 품에 두신다는 영적 사실(spiritual fact)을 깨닫기에 이른다. 요한복음에는 이처럼 요한의 역사적 예수 경험과 성령의 인도하심에 의한 요한의 영적 사실을 깨달음(신학)이 함께 공존한다.
 요한은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받으시는 예수님께서는 선재하셨으며, 그 선재 하심은 단순한 존재하심이 아닌 특별히 가깝고 친밀한 영광의 자리인 하나님 아버지의 품속에 계시는 것이라고 선언한다. 그런데 하나님께서는 세상을 사랑하시기에 그의 품을 열으셔서 그 품속에 두시는 유일하시고, 가장 우월하시고, 독생하신 하나님을 유일한 하나님의 대행자, 계시자로서 세상에 내어 주셨다. 그리고 아들 또한 세상을 사랑하사 자기 품을 창으로 찢어 열리게 하심으로 피와 물을 쏟아 세상의 죄악을 용서하셨다. 이것이 바로 하나님의 사랑이며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이다.
 이렇게 요한은 예수 품체험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아버지의 품을 열어 독생자를 내어주신 사랑-을 체험하였으며, 요한 일서에 “하나님은 사랑이시다”라는 살아있는 명제를 기록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요한은 성령은 예수 그리스도의 물과 피와 함께 이것을 증거하시며 이 셋이 하나라고 기록하기에 이른다.
   이런 요한의 예수님 품 체험과 성령의 인도하심에 의한 아버지 품을 열어 독생하신 하나님을 내어주신 하나님의 사랑 깨달음은 그의 성품과 생애를 바꾸어버렸다. 갈릴리 호수의 파도와 폭풍과 물고기들과 싸웠던 ‘우뢰의 아들’이 어둠의 세상에서 영혼들을 낚아 하나님께 드리는 사람 낚는 어부, 사랑의 어부, 사랑의 사도가 되었다. 그리고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같이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새계명을 교회에, 세상에 전해 주었다.

 

    자기 품 열어
     하나님 아버지 독생하신 하나님 내어주셨고
   자기 품 창에 찢기어
    아들 예수 그리스도 물과 피 주셨으며
   아들의 물과 피와 함께
   성령 하나님 그 사랑 증거하시도다

   품은 사랑을 위하여 있는 것
     품은 찢기워지기 위하여 있는 것
    이제는 내 품 찢어 열어
     그리스도의 사랑 나누어 줄 때로다

 

 

 

 


                          참 고 문 헌
성경류
원어성경
Alt, A., Eiβfeldt, O., Kahle, P., R. Kittel ed.  Biblica Hebraica Stuttgartensia        vierte ausgabe.  Deutsche Forschungsgemeinschaft, 1990.
Kurt Aland, Matthew Black. ed.  The Greek New Testament.  27th edition.
     United Bible Societies.
Lancelot C.L. Brenton, The Septuagint with Apocraypha: Greek and English,
     Grand Rapids: Michigan, 1995.
번역성경
개역, 공동번역, NIV, KJV, NRSV, JB

사전류
Bauer, Walter. A Greek English Lexicon of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Literature. 2nd ed. and rev. F. W. Gingrich.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Buechsel, F. "μονογενης." TDNT..
Micaelis, J. Ramsey. "προτοτοκος." TDNT..
Holladay, William L. A Concise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Grand Rapids:; Mich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3.
Smith, J. B. Greek-English Concordance to the New Testament.
      Scottdale; Pennsylvania: Herald Press, 1955.
Tompson, M. M. "John, Gospel of." Dictionary of Jesus and the Gospels.
      Dowmers Grove: IL; InterVarsuty Press, 1992.

문법서
Drumwright, Jr. Huber L. An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Greek.
      Nashville: Tennessee; Broadman Press, 1982.

주석류
Barrett, C. K. The Gospel According the St. John. London: SPK, 1978.
Beasley-Murray, G. World Biblical Themes-John. Dallas; Texas:
      Word Publishing, 1989.
------------. "John." WBC. vols. 36. Waco; Texas:
      Word Books Publisher, 1987.
Bengel, J. A. Bengel's New Testament Commentary-vol. 1: Matthew-Acts.
      Grand Rapids; Michigan: Kregel Publications, 1981.
Bernard, J. H. "Gospel According to St. John." vol. 1 ICC. Edinburgh:
      T. &. T. Clark, 1985.
-----------. "Gospel According to St. John." vols. 2 ICC. Edinburgh:
      T. &. T. Clark, 1985.
Brown, Raymond 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I-XII". TAB.                   vols. 29. Garden: New York, 1983.
-------------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XIII-XX1." TAB
      vols. 30. Garden: New York, 1983.
Bultmann, R. The Gospel of John. trans. G. R. Beasley-Murray.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91.
Calvin, J.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1-10." Calvin's Commentaries.
       trans. T. H. L. Parker.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4.
Dos, M. "The Gospel of St. John." The Expositor's Greek Testament.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74.
Gruendler, R. G. The Trinity in the Gospel of John-A Thematic Commentary         on the Fourth Gospel Grand Rapids, Michigan: Baker, 1986.
Haenchen, Ernst. John 1. trans. R. W. Funk.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0.
Lanski, William J. The Interpretation of St. John's Gospel.
       Minneapolis, Minnesota: Augusburg Publishing House, 1961.
Lightfoot, R. H. St. John's Gospel: a commentary. ed. C. F. Evans.
       Oxford, 1956.
Lindars, B. "The Gospel of John." The New Testament Bible Commentary.           vol. 1.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 "The Gospel of John." The New Testament Bible Commentary.
       vols. 2.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82.
Marsh, J. "Saint John." The Pelican New Testament Commentaries.
       New York, New York: Penguin Books, 1977.
Metzer, B. M. A Textual Commentary on the Greek New Testament.
       New York: United Bible Society, 1971.
Morris, L.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Grand Rapids, Michigan: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5.
Robinson, J. A. T. Priority of St. John. ed. J. F. Coakley. London: SCM Press,         1985.
Schnackenburg, R. Das Johannesevangelium III. teil. Freiburg: Herder, 1981.
Stibbe, M. W. John. Sheffield; England, 1993.
Tasker, R. V. G.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Grand Rapids, Michigan: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Westcott, B. F.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London, 1880.
Witherington, III, Ben, John's Wisdom. Louisville, Kentucky:
       Wesminster John Knox Press, 1995.
헨드릭슨.「요한복음 상」헨드릭슨성경주석, 문창수 역. 서울: 아가페, 1983.
-------.「요한복음 하」1984.

정기간행물
Bowen, C. R. "Love in the Fourth Gospel." JR XIII (1933) : 39-49.
Ford, J. M. "'Mingled Blood' from the Side of Christ." NTS 15 (1968-1969) :          337-338.
Hooker, Morna. D. "The Johannine Prologue and the Messianic Secret."
        NTS 21 (1974) : 40-58.
Johnson, N. E. "The Beloved Disciple in the Fourth Gospel." CQR 167 (1966) :          278-291.
Pamment, M. "The Fourth Gospel's Beloved Disciple,." ExpTim. 94 (1983) :            363-367.
Staley, J. "The Structure of John's Prologue : Its Implications for the Gospel's          Narrative Structure," CBQ 48 (1986) : 241-246.

단행본
Beasley-Murray, G. R. Gospel of Life, Theology in the Fourth Gospel.                 Peabody: Massachusetts; Hendrickson Publishers, 1991.
Brown, R. E. New Testament Studies. New York: Haper and Row, 1970.
Cullmann, O. The Johannine Circle.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 The Early Christian Worship. London: SCM Press, 1973.
Dunn, J. D. G. Unity and Diversity in the New Testament London:
        SCM, 1990.
Furnish, V. P. The Love Commandment in the New Testament.
        Abingdon Press, 1972.
Gruenler, R. G. The Trinity in the Gospel of John-A Thematic Commentary           on the Fourth Gospel. Grand Rapids: Michigan; Baker, 1986.
Morris, L. Studies in the Fourth Gospel. Grand Rapids, 1969.
Pfleiderer, O. Primitive Christianity: its writings and teachings in their                historical connections. vol. 4. London, 1911.
Robertson, A. T. Word Pictures in the New Testament. Nashville; Tennessee:
        Broadman Press, 1932.
Robinson, J. A. T. "The Relation of the Prologue to the Gospel of St. John."
        The Authorship and Integrity of the New Testament." London:
        SPCK, 1965.
Smalley, Stephen, S. John: Evangelist and Interpreter. Granville: Australia,            1978.
김득중.「요한의 신학」서울: 컨콜디아사, 1996.

 

 

 

 

 

 

 

 

 

                            Abstract
                        A Study on the
       only Son who is in the Bosom of God" Christology
                                                 Chang-Soung Lee
                                                 M. Div. in Biblical Theology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ansei University
                                                 Kyungki-do, Korea
I. Preface:
   The central them of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is Christology. This fact comes out clearly considering the ascertaining of the Gospel: "in order to make believe that Jesus is Christ, the Son of God" (John 20:31). Many scholars have studied variously, deeply about the Logos Christology which appears in the prologue of the Gospel(1:1-18), but not about the words "μονογενὴς θεὸς ὁ ὤν εἰς τὸν κόλπον τού πατρὸς" which is in the last part of the preface (1:18).
   The word “κόλπος” (bosom or side) very seldom appears in other Gospels, so it is very special, meaningful word in John's Gospel. How did John conceive the thought of Christ who is in the bosom of Father? What is the origin of the only God, who is in the Bosom of Farther Christology"? What is the meaning of the Bosom of Father Christology in the whole of John's Gospel?
   This study will mainly use the method of Literary Criticism. Such criticism basically treats text synchronically without considering context. Concentrating upon the words which reappear many tims, and the events in which the words appear, and searching the primary motif of recording the events will be following the method. But synchronic method alone will be insufficient to make the full meaning of the Bosom of Farther Christology comes out. This study will also use diachronic method which goes back to the behind of the text. Such method make this study possible to search the changing of the meaning of the words through the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of the Jewish literary. one more method, modest historical criticism, will be added upon such two methods. John's historical experiencing Jesus Christ in the John's Gospel, or in the Synoptic Gospels will be treated.
   This study will search in chapter II the independency of the tradition of Jesus of John's Gospel and the authorship of apostle John of the fourth Gospel, and then in chapter III, IV will exegate(comment) the words related with the Bosom of Father Christology, the words in which the three words; 'bosom', 'breast', 'side', appear. In chapter V making the results of the exegesis one, this study will try to find the synthetic christological meaning of the only God, who is in the Bosom of Farther Christology".

II. Independence of the Gospel of John: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Deism, the independence of the John's Gospel to the Synoptic Gospels was denied by some scholars. The John's Gospel was treated merely as an unhistoric, theological reconstruction of Synoptic Gospels with no real relation, and only the production of the latter step of Helenistic process of the Christian Gospel.. But in the 1920s, did one reaction arose against the prejudice which presupposed the Helenistic character of the fourth Gospel. The reaction was to suggest the Jewish background of the fourth Gospel. Discovering Dead Sea scrolls reinforced the credence of the Jewish background. In 1950s some scholars began to realize that the fourth Gospel relied on the real events or primary tradition. At last since 1970s many scholars have supported that the historic tradition of the fourth Gospel is independent of synoptic Gospels, so the fourth Gospel is historic and theological at the same time.

III. The Authorship of Apostle John of the Fourth Gospel
   Then who was the author of the historic and theological fourth Gospel? Externally early church tradition testify that the apostle John is the author. Internally the fourth Gospel itself does not write the name of the author, but writs only that 'the beloved disciple' wrote the fourth Gospel (21;24). Then, who was 'the beloved disciple'? Critical scholars consider 'the beloved disciple' was not historical person, but fictional, symbolic person. But most conservative scholars regard him as historical person. Among the scholars who think that the beloved disciple is historical person, there are some scholars insist that the beloved disciple did not write the fourth Gospel, but he was merely the historical authority behind the fourth Gospel. Against such insisting there are scholars, of course, who confirm strongly that the beloved disciple wrote the fourth Gospel partly or wholly as the scripture insisting. Then, who was the author, the beloved disciple? In synoptic Gospels apostle John was one member of three 'inner group' members; Peter, John, Jacob, whom Jesus was concerned about more than other disciples. If the beloved disciple was not  apostle John, the son of Sebede, apostle John did not appear in the fourth Gospel. It is strange. Combining external witnesses and internal recording and inferring shapes apostle John as the author of the fourth Gospel.

IV. The Exegesis of the Words which is related with "'only God, who is in      the bosom of Father' Christology
   The phrases which contain three words; 'bosom'(κολπος) (1:18, 13:23), 'breast' (13:25, 21:20), 'side' (19:34, 20:20, 25, 27) will be exegated(commented). In 1:18 'μονογενες θεος' means 'only-begotten God', 'unique, unparalleled or incomparable God', 'superior God', 'beloved God', 'the unique Agent of God". 'Ἐις τον κολπον τυ πατρος' might have been influenced by 'wisdom tradition', 'the thought of the bosom of Abraham', 'a custom of meal'. But John goes further then wisdom tradition as proclaiming that the word was in the bosom of God(in closest intimacy). From the point of 'the thought of the bosom of Abraham's view, 'in the bosom of God' will mean 'the seat of Glory', and from that of the custom of meal's view, specially close relationship. ἐξηγησατο means that the breast of God laid open to us in the Gospel.
   Verses 13:23 and 25 inform us that at the last supper the beloved disciple, John, was in the bosom or the breast of Jesus. John was by Jesus's heart, and overheard the disclosed secret of the Redeemer. He was 'bosom friend' of Jesus. Through verse 19:34 the beloved disciple witnesses that Jesus's side
(πλευρα) was pierced by the spear of a Roman soldier. This event is recoded only in the Fourth Gospel. Until now many scholars have tried to interpret the purpose of the recoding the event, and have produced some theories; 'A Response against Docetism', 'Miraculous Event'(the seventh miracle in the Fourth Gospel), 'A Symbolic Writing about Being torn of the Curtain of Jerusalem Temple', 'Relation with Baptism and Communion', 'Jesus the Paschal Lamb'. But scholars have not questioned themselves, "Why this event is recoded only in John's Gospel?" The side (πλευρα) in chapter 19 is included in bosom (κολπος). Therefore this even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relation with 13:23. only John, the beloved disciple, had the experience of the bosom of Jesus, and concerned himself about the bosom, so only he witnessed his experience about the torn bosom of the Jesus on the Calvary by writing. "The experience of the bosom(or breast, side) of Jesus" is the primary motif of the sole writing of the event in the Fourth Gospel.
   Then, what is the meaning of the event? The base of the meaning of the event is 'the Love motif'. Being torn of the bosom of Jesus was being torn of the bosom of the Father. Because God, the Father, loves the world so much, he gave his only Son to be torn to the world. With the Love motif, did the Father give out his beloved Son from his bosom, and the Son gave out his water and blood from his torn bosom(or breast, side) to the world.
   In 20:20, 25, 27 the beloved disciple, John, reports that the risen Jesus showed his disciples his hands and side while Luke writs that Jesus showed his hands and feet. Scholars have failed to find the fact that the word "side" appears again and again in John's Gospel, and have not questioned themselves the motif of the repetition. John discloses his primary motif, his experience of the bosom(or breast, side) of Jesus, in these verses too. With Thomas the beloved disciple confesses that Jesus is Lord and Go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bosom of Jesus.. This confession is the culmination of the Fourth Gospel,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basis forming the prologue which declares that the word was God.

V. Synthetic Interpretation
   only God who is in the bosom of the Father Christology" in 1:18 should be interpreted under the light of the experience of John about the bosom of Jesus in 13:23, 25. 1:18 is the production of the 2nd experience based on the 1st experience. The 1st experience is the experience of the bosom of Jesus at the last supper. The 2nd experience is formed by the 1st experience and other serious John's experiences about Jesus
   John had the last supper with Jesus and his 12 disciples. At the supper John as beloved disciple reclined his head into Jesus' bosom. This was 1st experience. on the Calvary hill John saw that the side (or bosom, breast) of Jesus in which he had reclined his head was torn by a spear of a Roman soldier, and from the side (or bosom, breast) water and blood came out. This was the 2nd experience. John saw agin the torn side of risen Jesus, and heard Thomas' confession; "Your are my Lord, and my God!" This was the 3rd experience.
   John's experiences about Jesus' bosom after the last Supper was affected by the primary motif, John's concern about Jesus' bosom. The primary motif made John know and feel Jesus' love toward him and the world.
   Together such experiences one more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Jesus' Transfiguration recorded in Synoptic Gospels, affected to form 1:18.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voice of Father at the Transfiguration, did John know that Jesus is God's beloved Son. John might ask himself where Jesus was before coming into the world. At that time John might remember that Jesus who loved him placed John in his bosom. And John arrived at the conclusion under the guiding of Holy Spirit; as Jesus placed his beloved man in his bosom, did God, the Father, place his beloved Son in his bosom. This conclusion disclosed spiritual fact.
   only God who is in the bosom of the Father declared God" means God, the Father, opened his bosom and gave out the world his beloved Son because of his love toward the world. God, the Father, opened his bosom and gave the world his Son, and The Son opened his bosom, and gave the world his water and blood.
   The fact that the Son, according to the Paul's usage; 'the last Adam', opened his bosom (or breast, side), gave the world his water and blood flow to forgive her sin, and made his Church form recall us that God opened the side of the first Adam, and made the woman, the helper. As the bride of the first Adam came out from Adam's side, did the bride of Christ, the Church, come out from Christ's side.
   As Antitype God opened Adam's side and made a woman, and as type he opened his bosom(or side) and gave his Son to the world because of his love, and the Son opened his side, gave his water and blood, forgave the sin of the world, and made the menkind forgiven the Church because of his love.
  Love is a important theme of John's Gospel. only John define God as love (IJoh. 4:8; "God is love!"). John was like a thunder, so Jesus named him 'the son of thunder', but after he realized Jesus' love and God' love through his experience of Jesus' bosom did he overcome such temperament, and wrote that the New Commandment is "Love each other!" The love in John's Gospel is open toward the whole world.

VI. Conclusion
   John's Gospel is the production of the theological act based on the history which has independent tradition from the Synoptic Gospel.
   The author of John's Gospel was apostle John. He was the beloved disciple by Jesus, and reclined his head into Jesus' bosom at the last Supper. This experience became the primary motif which made John concentrate into Jesus' bosom (or breast, side), and the concentrated bosom made John experience "Love" of Jesus God.
  This experience led John to the only God who is in the bosom of the Father Christology" which appear in the last part of the prologue of John's Gospel. Through his experience of the bosom did John arrive at the realization of the spiritual fact that God places his beloved Son in his bosom. In John's Gospel John's experience about historical Jesus exists simultaneously with John's realization of the spiritual fact (theology).
  John declared that Jesus whom God, the Father, loves preexisted, and his preexistence is not simply existing, but existing in the bosom of God, specially close, intimate, glorious place. Because of his love to the world did God, the Father, open his bosom, and gave out the world his only and superior Son, God, as only God's agency and revealer. and also the Son opened his bosom  with making his bosom be pierced and be torn, poured out his water and blood from the bosom, and forgave the sin of the world with the blood. This is the Love of God, and the Grace of Jesus Christ.
   Like this John experienced God's love; Father's opening his bosom and giving his only Son, and arrived to write the living proposition; "God is Love!", in 1 John.
   Such experience of John about the bosom of Jesus, and realization of God' love changed his character and life. The son of thunder became the apostle of love. And he delivered the New Commandment of Jesus; "Love each other as I loved you!", to the Church and to the world.